대두종실(大豆種實)의 수량(收量)과 영양적(營養的) 품질(品質)에 미치는 황(黃) 시용(施用)의 효과(效果)

Effects of Sulfur on Yield and Nutritive Qualities of Soybean

  • Lim, Sun-Uk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Eom, Joo-Wan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84.12.25

초록

황(黃)이 대두(大豆)의 수량(收量)과 생육(生育) 및 영양적(營養的) 품질(品質)에 미치는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광교(光敎) 품종(品種)에 대하여 함황비료(含黃肥料)의 비종(肥種), 시비수준(施肥水準) 및 시용방법(施用方法)을 달리하여 포장실험(圃場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토양시비(土壤施肥)의 경우 황(黃) 공급원(供給源)으로 유안(硫安)과 과석(過石)을 공시(供試)하고 황(黃) 시비수준(施肥水準)은 10a 당(當) 0, 2, 4, 6kgS로 하였으며 엽면시비(葉面施肥)의 경우는 $K_2SO_4$, $(NH_4)_2SO_4$, $MgSO_4$, 및 Thiourea 를 개화기(開花期)에 10a당(當) 2kgS로 시용(施用)하였다. 실험(實驗)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종실(種實) 수량(收量)과 건물중(乾物重)은 황(黃) 시용수준(施用水準)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증가(增加)하였으며 각(各)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도 증가(增加)하였다. 2. 황(黃)의 시비(施肥)에 의하여 종실(種實)의 황(黃)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였고 따라서 N/S비(比)도 저하(低下)되었다. 3. 종실(種實)의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은 황(黃)의 시비(施肥)로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함황(含黃)아미노산(酸)인 methionine과 cysteine이 증가(增加)하여 대두(大豆) 단백질(蛋白質)의 영양적(營養的) 품질(品質)을 향상(向上)시킬 수 있는 효과(效果)가 나타났다. 4. 황(黃) 시비(施肥)는 종실(種實)의 지방함량(脂肪含量)이나 무기(無機)이온의 흡수(吸收)에는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5. 황(黃)의 비종별(肥種別) 시비효과(施肥效果)에는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시용방법별(施用方法別)로는 엽면시비(葉面施肥)가 더 효과적(效果的)이었다.

A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ulfur effects on yield, growth and nutritive qualities of soybean in the different fertilizer application methods. Ammonium sulfate and super-phosphate were applied to the soil with levels of 0, 2, 4, and 6Kg S/10a and potassium sulfate, ammonium sulfate and thiourea were applied by foliar application with 2KgS/10a.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Grain and dry matter yield of soybean were increased by the increase of sulfur application and sulfur application showed positive effect on yield components. 2. Sulfur application increased the sulfur content and decreased N/S ratio in grain of soybean. 3. Protein content was increased by raising sulfur application up to 4Kg S/10a. Sulfur application influenced on amino acid composition of soybean protein. Cysteine and methionine contents were increased by sulfur application. 4. Lipid content of soybean grain and inorganic ion absorption by soybean plant were not influenced significantly by sulfur application. 5. In application effe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ulfur fertilizers, but foliar applic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soil applic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