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ve Contribution of Organic Matter and Clay Content to Cation Exchange Capacity in Sandy Soils

사질토(砂質土)에서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에 대한 유기물(有機物)과 점토(粘土)의 상대기여도(相對寄與度)

  • Published : 1984.12.25

Abstract

224 profiles representing 19 soil series were subjected to multiple regre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organic matter(OM) and clay content to total cation exchange capacity(CEC) in sandy soil.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OM and clay, with the dependent variable CEC. Simple correlation coefficients showed high significance at CEC-OM and CEC-clay. The partial regression coefficients indicated that CEC for each gram of OM was calculated to be 0.549 and 1.351 meq of top and subsoil. The clay contributions of top and subsoil were 0.247 and 0.226 meq, respectively. The standard partial regression coefficients appeared that clay content was 1.23 times as important as orgnic matter in predicting CEC.

사질토(砂質土)의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에 대한 유기물(有機物)과 점토(粘土)의 상대기여도(相對寄與度)를 측정(測定)하기 위하여 19개 토양통(土壤統)의 단위(單位) 위치별(位置別) 대표단면(代表斷面)(224)의 자료(資料)를 가지고 단순회귀(單純回歸)와 중선회귀(重線回歸)를 통계처리(統計處理)하였다. 1. 우리나라 사질토(砂質土)의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 유기물(有機物) 및 점토(粘土)의 평균함량(平均含量)은 각각 4.2meq/100g, 0.74 그리고 5.6%이었다. 2. 염기치환용량일유기물(鹽基置換容量一有機物) 그리고 염기치환용량일점토(鹽基置換容量一粘土) 사이의 상관(相關)은 고도의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내었다. 3.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 추정시(推定時) 유기물(有機物) 1gr은 표토(表土)와 심토(深土)에서 각각 0.55와 1.35meq, 점토(粘土)는 0.25 및 0.23meq만큼 기여(寄與)하였다. 4.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을 추정(推定)할 때 점토(粘土)는 표토(表土)와 전층(全層)에서 유기물(有機物)보다 각각 1.53 및 1.23배 중요(重要)하였으며 심토(深土)의 경우 거의 비슷한 경향(傾向)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