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土壤)의 입경분포(粒徑分布)에 대(對)한 공간변이성(空間變異性) 분석(分析) -II. 입경공간변이성(粒徑空間變異性)의 Variogram 적합(適合)과 Kriging

Spatial Variability for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wo Soils -II. Fitting Variogram Models and Kriging

  • 발행 : 1984.12.25

초록

지질통계학적(地質統計學的) 개념(槪念)인 지역변수(地域變數) 이론(理論)을 적용(適用)하여 $2{\times}3m$ Grid형태(形態)로 표본추출(標本抽出)된 중동사양토(中東砂壤土)와 화동미질식양토(華東微質埴壤土)의 입경분포(粒徑分布)에 대한 구조분석(構造分析) 결과(結果) 설정(設定)된 Variogram에 기본(基本)을 둔 최량(最良)의 선형불편추정치(線型不偏推定値)(BLUE)인 Kriging값을 계산(計算)하였다. 1. 화동토양(華東土壤)의 모래함량(含量)에 대한 선형(線型) Variogram은 적합(適合)하지 않았으며, 중동토양(中東土壤)의 점토함량(含量)은 선형(線型) 또는 곡면형(曲面型) Variogram에 부적합(不適合)하였다. 2. 공시지역(供試地域)의 Kriging값과 Kriging 분산(分散)이 계산(計算)되었다. 3. 화동토양(華東土壤)에서 Kriging 분산(分散)과 표준오차(標準誤差)의 차(差)는 Nugget효과(效果)와 근사(近似)하였지만 중동토양(中東土壤)의 점토함량은 그 차(差)가 컸다.

Spatial variability of sand, silt, and clay contents on Hwadong SiCL and Jungdong SL was studied by using geostatistical concept. The measurements were made within a $33{\times}14m^2$ area at the nodes of 2 by 2m grids. The validity of all assumptions (stationarity, variogram models, etc.) was proved by Jack-knifing procedure and frequency distribution performed on the original data grids. The variogram of sand content on Hwadong SiCL was different from the linear model and that of clay content of Jungdong SL the linear and the spherical model in calculation of both kriged values and kriged variances in identification of its choice for simplic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