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사진(傾斜寫眞)의 해석적(解析的) 위치결정(位置決定)에 있어서 경중율(輕重率) 적용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Effectiveness of Weight in Analytical Positioning of Oblique Photography

  • 양인태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
  • 권현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유복모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투고 : 1984.04.09
  • 발행 : 1984.06.30

초록

본(本) 논문(論文)은 경사사진(傾斜寫眞)의 해석적(解析的) 위치결정(位置決定)에 있어서 경중율(輕重率) 적용에 관한 연구(硏究)로서 경사사진(傾斜寫眞)의 정도(精度)를 향상시키고 그 효용성(効用性)을 높이는 데 그 목적(目的)이 있다. 경사사진(傾斜寫眞)은 수직사진(垂直寫眞)에 비(比)하여 피복면적이 넓어 경제적이며 접근하기 어려운 대상물의 좌표해석과 정보(情報)획득에 용이하므로 많은 분야에서 그의 이용을 시도하고 있으나 수직사진에 비하여 해석방법이 복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사사진을 수직화(垂直化)하는 데 있어서 해석적(解析的) 편위수정(偏位修正) 이론을 도입하여 고찰하였다. 관측값 해석단계에서는 $30^{\circ}$ 경사사진의 수직화 과정에 본 연구에서 유도한 등각점(等角點)으로부터 상점까지의 y축방향의 거리 ${\gamma}_y=f{\cdot}tan{\frac{\theta}{2}}+y_a$의 역수로 경중율(輕重率)을 적용한 결과 경중율을 고려하지 않은 경사사진에 비하여 53.2%까지 수직사진에 접근시킬 수 있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effectiveness of weight in analytical positioning of oblique photography. Oblique photographies are more economical than normal photographies as it has a larger ground coverage and as it can be applied in situations where objects of interest are difficult to be approached. But the comparatively complex methods involved, present a problem in obtaining the desired results. In view of this fact, analytical rectification was applied in normalizing the oblique photographs. As oblique photographies are extensively used in slops and mountainous regions, a number of difficulties are encountered during the control surveying. The photocoordinates of the oblique photographs, taken at $30^{\circ}$, were weighted during rectification. They were weighted as inversely proportionate to the derived formular of ${\gamma}_y=f{\cdot}tan{\frac{\theta}{2}}+y_a$, the distance of each point from the isocenter along the Y axis. By applying the weights, coordinates errors conld be reduced and the error difference between oblique and normal photographs could be reduced upto 53.2%.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