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都市)와 농촌(農村)에서의 비점원(非點源) 오염물(汚染物) 배출양상(排出樣相)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Nonpoint Pollutant Loadings in Urban and Agricultural Areas

  • 임봉수 ((주)도화종합기술공사) ;
  • 이병헌 (부산수산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최의소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투고 : 1984.02.16
  • 발행 : 1984.06.30

초록

본(本) 연구(硏究)는 우리 나라에 있어서의 도시(都市)와 농촌(農村)의 비점원(非點源) 오염물질(汚染物質) 배출량(排出量)과 강우시(降雨時) 유출(流出)에 따르는 농도(濃度)의 양상(樣相)을 조사(調査)하였다. 주요분석항목은 COD, BOD, SS 이었으며 1981년(年) 5월(月)부터 8일(日)까지 수행(遂行)되었다. 도시지역(都市地域)의 비점원(非點源) 오염물질(汚染物質) 배출량(排出量)은 강우강도(降雨强度)와 강우지속시간(降雨持續時間) 등이 영향을 주었는 데 초기우수(初期雨水)에서 그 농도(濃度)는 유량(流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높아지는 양상(樣相)을 띤다. 또, 집중강우시(集中降雨時) 유량(流量)이 급격히 증가(增加)하더라도 그 농도(濃度)는 희석되기 때문에 그만큼 증가(增加)하지 않는다. 최대강우(最大降雨) 이후(以後) 다시 새로운 강우(降雨)가 형성(形成)될 때 오염물질(汚染物質)의 농도(濃度)는 초기강우(初期降雨) 이전(以前)의 농도(濃度)보다 낮은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하수천(河水川) 및 하수거(下水渠)에 침적된 오염물질(汚染物質)이 강우(降雨)에 의해 씻어 내려갔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대유량(最大流量) 이후(以後) 초기강우(初期降雨)보다 큰 강우강도(降雨强度)가 지속(持續)되는 경우에는 유량(流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오염물질(汚染物質)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한다. 도시지역(都市地域)의 강우시(降雨時) 면적당(面積當) 비점원(非點源) 오염물질(汚染物質)의 배출량(排出量)은 COD 489.9~1.328 kg/ha/yr로 평균(平均) 690.5 kg/ha/yr이고, BOD 226.8~614.8 kg/ha/yr로 평균(平均) 319.7 kg/ha/yr이고, SS 589.7~1,598.5 kg/ha/yr로 평균(平均) 831.2 kg/ha/yr로 산출된다. 농촌지역(農村地域)에서는 침전(沈澱)되었던 생활하수(生活下水), 퇴비 침출수 및 기타 농업폐기물(農業廢棄物) 등에 의해서 오염물질(汚染物質)이 흘러나온다. 논의 경우 면적당(面積當) 비점원(非點源) 오염물질(汚染物質) 배출량(排出量)은 COD 21.7~114 kg/ha/yr로 평균(平均) 62.34 kg/ha/yr이고, BOD 9.53~34.5 kg/ha/yr로 평균(平均) 18.65 kg/ha/yr이며, SS 8.35~29.57 kg/ha/yr로 평균(平均) 16.12 kg/ha/yr로 나타났다. 한편, 경작지의 경우 COD 46.3~171.8 kg/ha/yr범위로 평균(平均) 91.9 kg/ha/yr이고, BOD 11.7~42.5 kg/ha/yr범위로 평균(平均) 22.98 kg/ha/yr이고, SS 11.4~43.4 kg/ha/yr범위로 평균(平均) 23.09로 나타났다. 축산지역(畜產地域)의 오염물질(汚染物質)은 강우시(降雨時) 가축(家畜) 및 청소수(淸掃水), 퇴비국물에 기인한다. 면적당(面積當) 비점원(非點源) 오염물질(汚染物質) 배출량(排出量)은 COD 2,489~6,658 kg/ha/yr로 평균(平均) 3,804 kg/ha/yr이고, BOD 464~2,900 kg/ha/yr로 평균(平均) 2,047 kg/ha/yr이며, SS 729~1,442 kg/ha/yr로 평균(平均) 1,149 kg/ha/yr로 나타났다. 산림지역(山林地域)의 오염물질(汚染物質)은 강우시(降雨時) 나뭇잎이 퇴적되어 형성(形成)된 유기물층(有機物層)으로부터, 침출수(浸出水)가 씻겨져 내려오는 경우이다. 면적당(面積當) 비점원(非點源) 오염물질(汚染物質)의 배출량(排出量)은 COD 5.45~18.56 kg/ha/yr로 평균(平均) 9.86 kg/ha/yr이고, BOD 1.67~7.54 kg/ha/yr로 평균(平均) 3.48 kg/ha/yr이며, SS 9.74~10.35 kg/ha/yr로 평균(平均) 4.64 kg/ha/yr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 discharges and concentrations in runoff from the urban and agricultural areas in Korea. The analytical parameters used for this study were COD, BOD and SS. This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May to August 1981. Nonpoint pollutant mass loadings from the urban area were influenced by the rainfall intensity and the duration of rainfall, and etc. The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in the first flush was higher as the discharges increased. It was, however, found that the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in the heavy storm runoff were decreased due to the dilution effect. When other rainfall followed a peak rainfall, the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were lower than expected, because the first flush conveyed the most of pollutants deposited on the combined sewers. However the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d flow when a rainfall of higher intensity than the first flush was continued. Yearly area yield rates in kg/ha were estimated to be 690.5(489.9~1,328) of COD, 319.7(226.8~614.8) of BOD, and 831.2(589.7~1,598) of SS. Pollutant sources in agricultural area were of the domestic waste water, manure composting stack, and agricultural solid wastes and etc. In the paddy field, yearly area yield rates in kg/ha were estimated to be 623.4(21.7~114) of COD, 18.65(9.53~34.5) of BOD, and 91.9(46.3~171.8) of SS. In the crop land, however, yearly rates in kg/ha were estimated to be 91.9(46.3~171.8) of COD, 23.09(11.7~42.5) of BOD, and 23.09(11.4~43.4) of SS. Pollutant sources in the feedlot area were originating from the feces of cattle, the cleaning water, the wastes spilled from manure composting stack during rain. Yearly area yield rate in kg/ha was estimated to be 3.804(2,489~6,658) of COD, 2.047(464~2,900) of BOD, and 1.149 (729~1,442) of SS. Pollutant discharges in the forest area were resulted from the organic layer like leaves and others deposited on the surface. Yearly area yield rate in kg/ha was estimated to be 9.86(5.45~18.56) of COD, 3.48(1.67~7.54) of BOD, and 4.64(9.74~10.35) of S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