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이트륨 및 산화홀뮴의 비화학양론

Nonstoichiometry of the Yttrium Oxide and the Holmium Oxide

  • 장순호 (연세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
  • 여철현 (연세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
  • 최재시 (연세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
  • 편무실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발행 : 1984.08.20

초록

$YO_{1.5+x}$$HoO_{1.5+x}$로 표시되는 산화이트륨과 산화홀뮴의 비화학양론적 조성식의 x-값을 700$^{\circ}$C에서 1000$^{\circ}$C까지의 온도영역과 대기압에서 $1{\times}10^{-6}$기압 산소압력까지의 구간에서 중량 분석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x-값은 온도가 상승하면 증가하고 산소압력이 증가하면 또한 증가하였다. 비화학양론적 조성의 생성엔탈피 $({\Delta}H_f)$는 산소압력이 감소하면 감소하였고 그 값이 양의 값을 갖는 것으로 과잉산소의 형성 과정이 흡열과정임을 알 수 있다. 산소압력 의존성 1/n-값은 온도가 상승하면 상승하고 양의 값을 갖는 것으로 높은 온도일수록 산소압력 의존성이 커짐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x-값과 열역학적 자료로 부터 비화학양론적 결합과 전도성메카니즘을 규명하였다.

The x-values in the nonstoichiometric chemical formulas $YO_{1.5+x}\;and\;HoO_{1.5+x}$, have been measured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700$^{\circ}$C to 1000$^{\circ}$C under oxygen pressures from $2{\times}l0^{-1}\;to\;1{\times}10^{-6}$ atm by gravimetric method. The observed x-values increase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oxygen pressure. The enthalpies of formation of excess oxygen in yttrium oxide and holmium oxide decrease with decreasing oxygen pressure and are all positive values representing an endothermic process. The 1/n values calculated from the slopes of the plots of log x vs. log $P_{O2}$ increase with temperature and are positive values which means the higher oxygen pressure dependence at higher temperature. We have examined the nonstoichiometric defect and conduction mechanism from x-values and thermodynamic data.

키워드

참고문헌

  1. Soviet Power Metallurgy and Metal Ceramics v.90 S. M. Braun
  2. C.R. Acad. Sci. Paris v.262 M. Foex;J. P. Trauerse
  3. Bull. Soc. Fr. Miner. Crystallogr. v.89 M. Foex;J. P. Trauerse
  4. Chemistry of High Temperature Material A. V. Zyrin;V. A. Dubok;S.G. Tresvyatskii;N.A. Toropov(ed.)
  5. J. Solid State Chme. v.2 G. V. S. Rao;S. Ramdas;R. N. Mehrotra;C. N. R. Rao
  6. J. Amer. Cer. Soc. v.49 N. M. Tallan;R. W. Vest
  7. Z. Physik. Chem. N.F. v.43 V. B. Tare;H. Schmalzried
  8. Z. Physik. Chem. (Leipzig) v.211 W. Noddack;H. Walch
  9. Z. Electrochem. v.63 W. Noddack;H. Walch
  10. J. Solid State Chem. v.2 G. V. Subba;S. Ramdas;P. N. Mehrotra;C. N. R. Rao
  11. J. Amer. Cer. Soc. v.50 C. D. Wirkus;M. B. Berard;D. R. Wilder
  12. Solid State Physics Advances in Research and Application v.3 F. A. Kroger;H. J. Vink;F. Seitz(ed.);D. Turnbal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