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nther and Cell Culture Techniques for Enhancement of Rice Productivity

수도 생산성증대를 위한 화분세포 배양 및 융합기술 확립

  • Published : 1984.10.01

Abstract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know the effects of pollen stage, cold shock temperature and duration, and media for callus and green plant induction in rice anther cultu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uninucleate stage of pollen was the most suitable stage for effective callus induction, (b) cold shock temperature of 8$^{\circ}C$ and 12$^{\circ}C$ was appeared to be proper temperature for callus induction, (c) callus induction rate was increased in the eight to 12 days long cold storage, (d) the medium N6 was better than that of N6D for callus induction, (e) green plant induction was better in both 4$^{\circ}C$ and 8$^{\circ}C$ than that of 12$^{\circ}C$ cold shock, (f) green plant frequency was higher in eight to 12 days long cold storage and (g) green plant frequency was doubled in the MS medium when compared with N6 medium.

수도 약배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callus 유기와 녹색체 출현율에 영향하는 화분의 발육단계, 화분의 저온처리와 기관 및 배지의 영향에 대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핵기의 화분에서 callus 유기율이 높았으며 이때는 대체로 엽신간장이 5~8cm에 해당되나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2. 이삭을 상, 중, 하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엽이간장이 5~8cm의 것은 상부와 중간부분에 단핵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9~10cm 정도의 것은 중부와 하부 부분이 단핵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으로 저온처리는 8$^{\circ}C$에서 12$^{\circ}C$가 callus 유기에 알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온도에 대한 반응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어 4$^{\circ}C$에서 callus 유기가 잘된 것도 있었다. 4. 저온 처리기간은 일반적으로 8~12일 정도에서 callus 유기가 잘 되었으나 품종간 차이가 있다. 5. 본 실험에서는 N6D 배지보다 N6 배지에서 callus 유기율이 높았다. 6. 대체로 녹색체 출현율은 4$^{\circ}C$와 8$^{\circ}C$로 처리한 것이 12$^{\circ}C$ 처리보다 높았다. 그러나 품종간 차이가 있었다. 7. 녹색체 출현에 좋은 결과를 주었던 온도 처리기간은 대체로 8~12일로 나타났다. 8. 본 실험에서 녹색체 출현율은 N6 배지보다 개량 MS 배지에서 2배 정도 높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