캇사바전분의 무증자당화에 의한 에타놀발효에 관한 연구(I I)

Ethanol Fermentation of Raw Cassava Starch (II)

  • 배무 (이화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이재문 (한국과학기술원 생물공학연구부)
  • Bae, Moo (College of Natural Science Ewha Women's University) ;
  • Lee, Jae-Moon (Division of Biological Science and Engineering, KAIST)
  • 발행 : 1984.12.01

초록

증자하지 않은 cassava 생전분의 ethanol 발효생산을 위한 동시당화 -발효의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생전분의 분해력이 가장 좋은 당화효소의 선별에서는 Asp. shirousami27이 가장 좋았으며 발효효모는 균주에 따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당화-발효는 pH3.6에서 가장 높았으며 발효전 6$0^{\circ}C$에서 당화효소에 의한 전당화와 발효시 교반등이 발효속도 및 발효율에 효과가 있었고, 분쇄처리도 효과가 있었다. cassava 생전분의 동시당화-발효에서 5일간의 긴 발효 기간을 요구하는데 발효중 발효액의 성분 조사 결과 중간물인 glucoserk 축적되지 않는 것으로 당화과정이 속도결정단계임을 알 수 있다.

The optimal condition of the ethanol fermentation from raw cassava starch by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 fermentation (SSF) was studied using glucoamylase from Aspergillus sp. and a yeast strain. The rate and yield of ethanol production were optimum at pH 3.6 with shaking. The fine milling treatment was effective for both saccharification and SSF of raw cassava starch. The presaccharification at 6$0^{\circ}C$ for 1 hr before SSF increased the rate and yield of ethanol production, as well. To increase the ethanol concentration after fermentation the substrate concentration could be increased up to 2195 without the problem of viscosity. The use of high concentration ethanol tolerant yeast strains and high substrate concentration produced ethanol higher than 10%(W/V) after fermentation for 5 day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