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Structure by Using the Terrestrial Camera

지상실체사진기를 이용한 구조물의 측정과 해석

  • Published : 1984.09.01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n structural measurement by using a terrestrial camera. The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method of a composition by analyzing the geometrical compositive ratio of threestoried pagodas at Gamun-Sa, Gosun-Sa, Bulguk-Sa, Seated iron Buddha in Kwang-Jn, and Main-Seat Buddha at Sukkuram Cave-temple. Measured data and contour maps are accurately obtained by means of photogrammetry, and the following points are able to he found by analyzing them. At first, for Stone Pagodas. the breaths of the Okgesuks are made to the ratio, 8 : 7 : 6. And when an equililateral triangle and an 45$^{\circ}$ isosceles triangle are drawn of which the bases are the length of the upper Gabsuk, and then a circle is drawn whose radius is the length between the vertexes of the two triangles and its center is the vertex of the former the circle passes the upper line of the third Oksin. Also it can be found that an $70^{\circ}$ isosceles triangle being drawn at base line, the triangle passes the edge point of the upper Gabsuk and the center of the third Okgesuk. Also for Budha statues, it can be found that circles whose center is that of eyes can be drawn, and if 2 lines which pass the shoulder and the center of Buddha's body are extended, they intersect the knees.

본 연구는 지상사진기에 의한 구조물(석탑)측정에 관한 것으로서 석탑중 통일신라의 석탑인 감은사지 삼층석탑, 고선사지 삼층석탑, 불국사 삼층석탑(석가탑) 및 불상인 석굴암 본존상, 광주철조여내좌상을 대상으로 조형비를 분석하여, 조형원리에 접근하는데 의의를 갖고 있다. 등고선도와 실측치를 정밀하게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조형비를 분석한 결과, 3재의 석탑과 2개의 불상에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선 석탑의 경우 옥개석폭들은 8 : 7 : 6의 비예관계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상대갑석을 밑변으로 정삼각형과 이등변 삼각형을 긋고, 그 정점사이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여 정삼각형의 정점에서 원을 그리면 삼층 옥신 윗면과 일치하였고, 또 기준면으로부터 $70^{\circ}$의 2등변 삼각형을 그러는 경우 상대갑석의 끝점들을 거의 통과하며, 삼층 옥개석의 낙수면과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불상의 경우 양 눈사이의 중점을 중심으로 원이 성립되고, 어깨와 명치를 연장하면 무릎에 접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