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MS의 현상과 장래 동향

  • 이동의 (일본, 동경공업대학 공학부 생산기계공학과)
  • Published : 1984.09.01

Abstract

중품종, 중량생산용의 합리적인 생산 system의 일형태로서 미국 Kearney & Trecker 사가 실용하고 있는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약칭 F.M.S.)을 처음으로 발표한 것은 1960 년대 후반이었다. 그러나 이 FMS도 그 후 얼마동안은 선전마저도 되는일 없이 지내왔다. 그런데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사회의 제품에 대한 요구가 다양화, 단수명화의 방향으로 진보되어, 그 결과, FMS의 중요성이 인식되게 되었다. 그리고 1970 년대후반부터 라고 표현될만한 상황이 일본,미국,서독 등 3개국을 중심으로 표현했다. 당초에는 라고 하는 용어만이 선행한 바람 직하지 못한 점은 있었으나 그후 FMS의 본질을 이해한 System의 도입증가와 함께 FMS 기술도 상당히 발전되어 왔다. 또한 FMS의 가동예의 증가와 더불어 그 도입효과가 눈부시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이 FMS의 중요성은 , 혹은 라고 하는 말로 집약되는데 당연히 현재로서는 FMS는 공업선진국, 개발 도상국을 막론하고 큰 화제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중요한 FMS의 상황을 국제적인 관점에서 정확히 파악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현금에 있어서의 FMS기술의 급속한 진보는 이와같은 관점에서의 상황파악을 매우 어렵게 하고 있다. 이제까지도 예컨데 Scharf와 Schulz, Hutchinson, Spur와 Mertinz 혹은 기계기술협회생산기술조사분과회(일본)의 조사예가 있으나, 상세한 것은 각국별, 혹은 각사별의 해설을 참조하지 않으면 이해할 수 없다. 더우기 이제까지는 기계가공용 FMS가 주체였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FMS의 적용범위는 판금가공, 단조가공, Plastic사출성형가공, 조립 등에 널리 이용되어 왔기때문에 점점 그 현상의 파악이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그와같은 FMS의 현상과 장래의 발전동향을 간단히 이해할 수 있도록 개설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