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화탄소중독치료(一酸化炭素中毒治療)에 있어 고압산소요법(高壓酸素療法)의 효과(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Hyperbaric Oxygen Treatment in Acute CO Poisoning

  • 윤덕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조수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Yun, Dork-R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 Soo-H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83.10.01

초록

1950년(年) 이후(以後) 무연탄(無煙炭)으로 만든 연탄(煉炭)을 취사(炊事), 난방용(煖房用)으로 가정(家庭)에서 광범위(廣範圍)하게 사용(使用)하게 되면서 연탄(煉炭)가스내(內)의 일산화탄소(一酸化炭素)로 인(因)한 중독사고(中毒事故)가 빈발(頻發)하여 심각(深刻)한 국민보건(國民保健)의 문제(問題)가 되어왔다. 저자(著者)들의 실태조사(實態調査)(1975년도(年度))에 의(依)하면 서울특별시일원(特別市一圓)에 있어 일산화탄소중독(一酸化炭素中毒)의 년간발생(年間發生)은 인구(人口), 10만당(萬當) 경증(輕症) 260명(名), 혼수상태(昏睡狀態)의 중증중독(重症中毒) 45명(名), 사망(死亡) 1명(名)으로 위험인구(危險人口)를 3,000만명(萬名)으로 하였을 때 전국적(全國的)으로 일산화탄소중독(一酸化炭素中毒)의 추정발생수(推定發生數)는 년간(年間) 경증(輕症) 78만명(萬名), 중증(重症) 13만(萬) 5천명(千名), 사망(死亡) 3,000명(名)으로 그 피해(被害)의 규모(規模)가 100만을 육박(肉薄)하는 가공(可恐)할 수자(數字)를 보여주고 있다. 저자(著者)들은 이러한 심각(深刻)한 국민보건(國民保健)의 문제(問題)를 우선(于先) 실천가능(實踐可能)한 제이차예방(第二次豫防)에 역점(力點)을 두어 고압산소요법(高壓酸素療法)을 보급(普及)할 목적(目的)으로 일인용고압산소장치(一人用高壓酸素裝置)를 개발(開發)하고 1969년(年) 1월(月)에 서울대학교병원(大學校病院)에 고압산소치료실(高壓酸素治療室)을 개설(開設)하여 급성일산화탄소(急性一酸化炭素) 중독환자(中毒患者)에 대(對)한 응급치료(應急治療)를 실시(實施)하여 1978년(年)까지 10년간(年間)의 치료결과(治療結果)를 요약(要約)한바 다음과 같다. 1. 총치료환자수(總治療患者數)는 2,242명(名)이고 회복(回復)된 수(數)는 2,202명(名)으로 98.2%의 회복률(回復率)을 보였다. 2. 계절적(季節的)으로 10월(月)에서 4월(月)까지가 연중최성기(年中最盛期)이나 5월(月)에서 9월(月)까지도 적지않은 환자(患者)의 발생(發生)을 볼 수 있었다. 3. 연령별분포(年齡別分布)를 보면 15세(歲)${\sim}29$세군(歲群)이 전체환자(全體患者)의 반이상(半以上)인 52.7%를 차지하고 있고 $0{\sim}14$세군(歲群)은 인구비(人口比)에 대해 발생(發生)이 훨씬 적은 결과(結果)를 보이고 있다. 4. 도착시간별(到着時間別) 입원율(入院率)은 오전(午前) 10시이후(時以後) 도착군(到着群)서부터는 입원율(入院率)이 급증(急增)하는데 이는 병원도착(病院到着)이 늦일수록 당일회복(當日回復)이 되지못하고 입원가료(入院加療)하게 됨을 나타내주는 결과(結果)라 할 수 있다. 5. 병발증(倂發症)으로는 급성욕창, 폐렴(肺炎) 및 신경학적(神經學的) 이상등(異常等)의 소견(所見)을 많이 볼 수 있었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