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韓國)에서의 이바라기 병(病)(Ibaraki disease)의 발생

An Outbreak of Ibaraki Disease in Korea

  • 발행 : 1983.04.30

초록

1982년 9월부터 11월까지 사이에 경기도(京畿道) 일원의 소에서 발열(發熱), 구내염(口內炎), 연하장애(嚥下障碍)를 나타내는 질병(疾病)이 유행성(流行性)으로 발생하였다. 이와같은 질병(疾病)은 같은시기에 충청남도(忠淸南道), 강원도(江源道), 전라남도(全羅南道) 및 경상남도(慶尙南道)의 일부지역에서도 산발적으로 발생하였고, 특징적인 임상소견(臨床所見)으로서 확인된 발생두수(發生頭數)는 73두에 달하였다. 이 질병(疾病)에서 관찰된 주요 병변(病變)은 구강점막(口腔粘膜), 인후두(咽喉頭), 식도(食道) 및 사위(四胃)의 수종(水腫), 출혈(出血), 변성(變性) 및 괴사(壞死)이었으며 이들 병변(病變)중에서도 식도(食道)와 인후두근육(咽喉頭筋肉)의 초자양변성(硝子樣變性)과 출혈(出血)은 진단적(診斷的)인 소견(所見)으로 간주되었다. 특징적인 임상소견(臨床所見)을 보인 소에서 채취한 혈청(血淸)에서 Ibaraki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中和抗體)가 증명되었다. 이상과 같은 임상(臨床), 역학적(疫學的), 병리학적(病理學的) 및 혈청학적(血淸學的) 소견(所見)에 의하여 질병(疾病)은 Idaraki병(病)이라고 진단(診斷)되었으며 일본(日本) 이외지역의 발생보고는 처음인 것이다.

Epizootics and sporadic outbreaks of the cattle disease characterized by fever, stomatitis and dysphagia were observed in Korea in September through November, 1982. The number of cattle showed typical symptoms of the disease was estimated to 73 and these animals were concentrated in Gyongido province, the central district of Korea. In other districts around Gyongido province the disease tended to be sporadic occurrence. The main lesions of the disease were defined as edema, hemorrhage, degeneration and necrosis of the oral mucosa and musculatures of the esophagus and laryngopharyngeal area, and abomasum. Of these lesions hyaline degeneration and hemorrhage of the striated muscle of the esophagus and laryngopharyngeal area were the most striking changes of the disease and rated to be the lesion of diagnostic significance. The serum samples of the cattle with typical symptom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titer of the antibodies against Ibaraki virus. On these clinical, epidemiological, pathological and serological findings of the disease it was diagnosed as Ibaraki disease presenting the only report on the epizootics in the countries other than Japa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