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산복족류의 소화관조직중에 분포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

Proteolytic Activity of the Crude Enzyme Extracted from the Digestive Tract of Marine Gastropods

  • 조득문 (부산수산대학 식품영양학과) ;
  • 변재형 (부산수산대학 식품영양학과) ;
  • 변대석 (부산수산대학 식품영양학과) ;
  • 김장양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CHO Deuk Moon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PYEUN Jae Hyeung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BYUN Dae Seok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KIM Chang Ya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발행 : 1983.07.01

초록

해산복족류의 소화관조직에 분포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pH, 온도, 화학약제, 저온보존 등의 영향을 밝히므로서 그 생리 생태학적 관련 지식을 얻고, 나아가서 그 정제를 위한 몇가지 기본적인 성질을 구명코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군소, 소라, 전복의 소화관조직에서 추출된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최적조건에서의 활성을 보면, 산성역과 약산성역에서는 전복이 다른 두 복족류에 비하여 2배 혹은 그 이상 높았으며, 알카리성역에서는 군소가 다른 두 복족류이 비하여 6배 혹은 그 이상 높은 특징을 보였다. 2. 화학약제가 효소의 활성이 미치는 영향을 종합하여 보면, 대체로 금속이온중의 $Mn^{2+}$, 실험에 쓴 전 환원제, 킬레이트제중의 EDTA, SH 시약중의 DTT 등에 의하여 활성화하였고 금속이온중의 $Hg^{2+}$ 및 변성제중의 SDS 등에 의하여서는 공통적으로 조해를 받았다. 3. 이들 효소가 보인 활성능의 저온보존에 의한 영향을 보면, $0^{\circ}C$$-20^{\circ}C$에 보관하였을 때, 군소와 소라의 산성과 약산성역에서 최적활성조건을 보이는 효소들은 보관기간의 경과에도 영향을 보이지 않았지만 알카리성역에서 최적활성조건을 보인 효소들은 보관일수의 경과와 더불어 활성이 저하하여 불안정함을 알았다. 그러나, 전복의 약산성역에서 최적활성조건을 보이는 효소는 보관기간의 경과에도 활성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산성과 알카리성역에서 최적활성조건을 보인 효소들은 보관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활성이 저하하여 저온에서는 불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work was undertaken to obtain some characteristics of proteolytic enzyme of marine gastropods such as sea hare, Aplysia kurodai, top shell, Turbo cornutus, an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An influence of pH, temperature and some chemicals on proteolytic activity of the crude enzyme extracted from digestive tract of the samples was taken into account and the stability of the enzyme during the storage at low temperature was also discussed. In comparison of the activities of the crude enzyme from the samples to the optimum conditions, it was characterized that abalone has twice or the more times higher activities than the other two species of the gastropoda in the acid and weak acid region, while, in the alkaline region, sea hare has six or the more times higher acitivities than the other two species. The proteolytic activity was facilitated by $Mn^{2+}$, some reducing agents, EDTA and DTT, and inhibited by $Hg^{2+}$ and SDS, but the other chemical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to the activity. The low temperature storage of the enzymes of sea hare and top shell at $0^{\circ}C\;or\;-20^{\circ}C$ was not affected to the enzymic activity under the optimum pH condition except in the alkaline region. On the other hand, the low temperature storage was brought about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activity of the enzymes extracted from abalone under the optimum condition of the weak acid region, but apparently influenced to the activity under the optimum condition of the acid and alkaline reg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