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sh Larvae of Changson Channel in Namhae, Korea

남해창선해협의 자치어에 관한 연구

  • KIM Yong Uk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김용억 (부산수산대학 자원생물학과)
  • Published : 1983.07.01

Abstract

Fish larvae were collected from Changson channel, Namhae over the period from June 1982 to May 1983. A total of 44 species (33 families and 41 genera) were identified and described with morphological feature. The larvae of Cyclopsis tentacularis is newly reported in the Korean waters. Abundance of the species in numbers was as follows : Engraulis japonica $86.56\%$, Acanthogobius flavimanus $5.91\%$, Enedrias sp. $1.71\%$, Sebastes inermis $1.18\%$, Leucopsarion petersi $0.78\%$, Hexagrammos otakii $0.68\%$. According to variation of seasonal abundance the larvae were grouped into three seasonal groups as follows : Spring type: Engraulis japonica, Astroconger sp., Enedrias sp., Leucopsarion petersi, Sebastes inermis, Hexagrammos otakii Summer type : Engraulis japonica, Leiognathus nuchalis, Acanthogobius flavimanus, Omobranchus elegans, Syngnathus schlegeri. Winter type: Enedrias sp.

창선해협에 설치된 죽방렴정치어장에서 1982년 6월에서 1983년 5월까지 채집된 자치어를 재료로 종을 동정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창선해협에서 채집된 어류 가운데 속 또는 종의 계급까지 동정된 것은 33과 41속 44종이었다. 2. 줄구멍도치 Chclopsis tentacularis를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3. 어종별 채집양중 가장 많은 것은 멸치($86.56\%$)이며, 다음이 문절망둑($5.92\%$), 베도라치류($1.71\%$), 볼낙($1.18\%$), 사백어($0.75\%$), 쥐노래미($0.68\%$), 주둥치($0.62\%$), 그리고 앞동갈베도라치($0.55\%$) 등으로 이들은 전체 어종의 $98\%$를 차지하였다. 4. 월별출현량을 종별로 보면, 1982년 6월에 12종, 7월에 9종, 8월에 8종, 9月에 8종, 10월에 5종, 11월에 8종, 12월에 7종, 1983년 1월에 8종, 2월에 5종, 3월에 15종, 4월에 4종 그리고 5월에 6종이었다. 5. 계절적인 출현경향을 보면 춘계인 3월에 15종이 출현하여 가장 많은 종을 점하고 있으나 주로 멸치, 베도라치류, 사백어, 볼낙,쥐노래극등이 $87,46\%$를 차지하였다. 하계는 주로 멸치가 출현량의 $86.72\%$를 차지하고 연중 나타나지만 다음이 문절망둑으로 $9.56\%$, 주둥치가 약 $1\%$의 순이었고 이들은 비교적 출현기간이 짧다. 추계에는 멸치와 문절망둑이 전체를 점유하고 ($99.76\%$), 새롭게 나타난 종은 참돔, 동갈양태 속, 농어, 미역치, 도다리 등이며 이들도 비교적 출현기간이 짧다. 동계에는 베도라치류, 사백어, 쥐노래미가 주로 나타나지만($93.69\%$) 춘계에 연속출현한다. 6. 출현어종의 형태적특징을 기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