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Spatial Variability for Infiltration Rate of Field Soil -I. Variogram

토양(土壤)중 물의 침투속도(浸透速度)의 공간변이성(空間變異性) 분석(分析) -I. Variogram

  • Published : 1983.12.25

Abstract

Spatial variability of infiltration rates of 96 samples from Hwadong SiCL was studied by using geostatistical concepts. The measurement was made at the nodes of the regular grid consisting of 12 rows and 8 columns. Sample spacing within rows and columns was 3 and 2 meters, respectively. This study illustrated the use of variogram as a tool to identify the degree of dependency of the infiltration rate on the distance between pairs of measurements and how to take advantage of this dependency. Fractile diagram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of observation was approximately normal. The range of the variogram was about 7.4 meters. The minimum number of samples necessary to reproduce the results similar to the 96 measured values was 8 to 10. Coefficients of theoretical variogram function for computing kriged values and kriged varionces of nuogget effect, slope, and range were 0.444 cm/day, 0.003 cm/day, and 7.4 m, respectively.

화동미사질식양토(華東微砂質埴壤土)의 침투속도(浸透速渡)에 대한 변이성(變異性)이 표준통계학적(標準統計學的) 방법(方法)과 지질통계학적(地質統計學的) 방법(方法)인 Variogram에 의해 연구(硏究)되었다. 지질통계학적(地質統計學的) 개념(槪念)인 지역(地域) 변수(變數) 이론(理論)으로 관측치(觀測値)에 대한 공간변이성(空間變異性)이 기술(記述)되었고 구조분석(構造分析)된 후 Kriging을 위한 최적(最適)의 표본추출수(標本抽出數)와 그 거리(距離)를 결정(決定)할 수 있도록 장방형(長方型)의 $2{\times}3m$ Grid 형태(形態)로 표본추출(標本抽出)하여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표본(標本)에 대한 산술평균(算術平均)값과 표준편차(標準偏差) 값이 각각(各各) 3.56, 0.67cm/day이었으며 변이계수(變異係數)는 18.93%로서 관측치(觀測値)는 거의 정규분포(正規分布)를 나타내었다. 2. Sill값을 갖는 선형(線型)의 평균(平均) Variogram을 선정(選定)한 결과(結果) Nugget효과(效果)를 보였으며 그 범위(範圍)는 7.4m이었다. 3. Variogram의 구조분석(溝造分析) 결과(結果) 공시지역(供試地域) 표본수(標本數) 96과 같은 결과(結果)를 가져올 수 있고 최적표본수(最適標本數)는 8~10이었다. 4. Kriging값과 Kriging분산(分散)을 계산(計算)하는데 필요(必要)한 이론적(理論的)인 Variogram함수(函數)의 계수(係數)는 Nugget 효과(效果) 0.444cm/day, 선형(線型) Variogram의 기울기 0.003cm/day, 그리고 이웃간 거리(距離) h=7.4m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