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토내(壢土內)의 응력분포(應力分布)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oil Stress Distribution in Furrow Slice

  • 이기명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공학과) ;
  • 이석건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공학과) ;
  • 김태한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공학과)
  • 발행 : 1983.01.20

초록

경운시(耕耘時) 토양조건(土壤條件) 및 절삭조건(切削條件)에 따른 역토내의 응력분포(應力分布)를 파악(把握)한 목적(目的)으로 토양응력계(土壤應力計)를 시작(詩作)하여 소형토양조(小型土壤槽)을 사용(使用)한 실험(實驗)에서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가. 절삭조건(切削條件) 및 토양조건(土壤條件)은 주응력(主應力)의 방향(方向)에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는다. 나. 절삭조건(切削條件)에 따른 주응력(主應力)의 크기는 경심(耕深)이 클수록 최대(最大) 주응력(主應力)이 증대(增大)하는 경향(傾向)이 있으나 절삭각(切削角)의 변화(變化)에는 그 영향(影響)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 토양조건(土壤條件)에 따른 주응력(主應力)의 크기는 토양수분(土壤水分) 함량(含量)이 많아질수록, 점토분(粘土分)이 많을수록 최대(最大) 주응력(主應力)이 증대(增大)하는 경향(傾向)이 있다. 라. 전단면상(剪斷面上)에서의 응력분포(應力分布)는 모래 성분(成分)이 많은 토양(土壤)일수록 상층(上層)의 응력(應力)이 0에 접근(接近)하고 점토성분(粘土成分)이 많은 토양(土壤)일수록 상층(上層)의 응력(應力)이 증가(增加)하여 상하층(上下層)의 응력(應力)이 같아진다.

In order to identify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furrow slice a small soil bin instrumented with soil stress meters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From a series of experiments conducted in the soil bi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Neither the cutting conditions nor the soil conditions affected the direction of the principal stress. 2) The magnitude of the principal stress increased as the tillage depth increased. However, no effects due to lift angles were shown on the magnitude of the principal stresses. 3) The maximum principal stress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moisture and clay contents in the soil. 4) In the clay soil, the maximum principal stresses were distributed uniformly over the tillage depth. However, as the sand content increased, the maximum principal stresses decreased gradually on the top layer so that the distribution over the tillage depth became a trapezoidal shap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