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n the Interpeduncular Nucleus and the Habenulo-Interpeduncular Projection in the Rat

흰쥐 뇌각간핵 및 고삐-각간로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 Park, W.B. (Department of Biology, Cheonan Campus, Dankook University)
  • Published : 1983.10.01

Abstract

Electron microscopic degeneration studies were carried out on the rat's interpeduncular nucleus following lesion on both habenular nuclei to clarify the morphological nature of their presynaptic endings involved in the habenulo-interpeduncular pathway. Two distinct types of interpeduncular neurons were observed: 30% of large neurons and 70% of small ones. Four types of boutons with many characteristics could be differentiated; small spherical vesicle-containing boutons (40%), large spherical vesicle-containing boutons (18%), pleomorphic vesicle-containing boutons (33%), and elongated vesicle-containg boutons (9%). Vesicle containing dendrites were observed as dendro-dendritic synapses and axo-axonal synapses were also found, though rarely. Two to four days after the lesion on both habenular nuclei, the small spherical vesicle-containing boutons were found almost exclusively in the process of degeneration, while the other types were entirely free of degeneration. Therefore, it is inferred that habenural neurons terminate in the interpeduncular nucleus as small spherical vesicle-containing boutons. The neuronal origin of the other bouton types is discussed.

흰쥐를 실험 동물로 하여 각간핵의 신경세포의 미세구조와 신경연접 기구를 확인하고, 고삐핵으로 부터 각간핵으로 투사되는 축삭종말의 형태를 밝히기 위하여 고삐핵을 전기적으로 제거(electrolytic lesion)한 후 간각핵에서 퇴행성 변화를 보이는 축삭종말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흰쥐 각간핵에는 크기에 따라 대신경세포 ($27\\times12 \\mum$)와 소신경세포 ($15\\times10 \\mum$)가 구별되었다. 대신경세포는 그 세포질내에 잘 발달된 소기관들이 있었으며, 핵에는 약간의 핵막 함입이 형성되어 있었다. 소신경세포는 소기관들이 빈약하게 발달되어 있었고 핵은 매우 깊은 핵막의 함입이 이루어져 있었다. 이들 대, 소신경세포의 구성비는 3:7 정도로 소형세포가 많았다. 2. 각간핵의 신경종말의 현접형태는 그 종말내에 포함되어 있는 연접소포의 크기와 모양 및 분포 상태, 그리고 연접부에 형성된 연접치밀질의 발달에 기초를 두어 관찰한 결과 4형이 구별되었다. 제I형 연접은 작고 둥근 연접소포 (직경 40 nm)를 포함하여, 비대칭성 연접을 이루었고, 본연접이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40%). 제II형 연접은 크고 원형의 연접소포(직경 45 nm)를 포함하며, 대칭성인 연접치밀질을 형성하였고, 그 출현율은 18%였다. 제III형 연접은 원형 및 난원형 (직경, $25\\times40 nm$)이 섞여 있었으며, 대칭성인 연접을 형성하고 있었고, 33%의 출현율을 보였다. 제IV형 연접은 타원형의 연접소포 (직경, 25\\times50 nm$)를 갖고 있었으며 대칭성인 연접을 띠고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