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과 한국산 식품 중 세레니움 함량분포

Distribution of Selenium Contents in Human Blood and Foods Produced in Korea

  • 오상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과) ;
  • 조무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과)
  • Oh, Sang-Hwan (Department of Biochemist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Cho, Moo-Youn (Department of Biochemist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발행 : 1983.09.30

초록

한국인과 한국산 가축의 selenium 영양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남한의 selenium 분포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국 45개 지역 토양중 selenium 함량은 0.03 내지 0.24 ppm이였으며 중앙 동북 고산지대는 0.14-0.24 ppm으로 높았고 서해안 그리고 남해안은 0.03-0.06 ppm으로 비교적 낮았다. 전국 42개 지역에서 채취한 목초 (억새, 크로바 )는 0.036 ppm (0.02-0.13ppm )을 함유하고 있으며 콩, 보리, 쌀은 0.047, 0.033 그리고 0.033 ppm selenium을 각각 함유하고 있었다. 전국 23개 도시에 거주하는 204명의 사람에서 채취한 혈액에는 평균 $0.16\;{\pm}\;0.06{\mu}g/m1$ $(0.05-0.35{\mu}g/ml)$ selenium 함량을 갖었고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도는 평균 $13.0\;{\pm}\;1.7\;EU/mg$ homoglobin이었다. 남한에서 생산되는 곡류와 채소류에는 0.02 내지 0.04 ppm의 selenium을 함유하고 육류인 쇠고기, 돼지고기에는 $0.11\;{\pm}\;0.05$$0.14\;{\pm}\;0.03\;ppm$을 그리고 참치, 조기, 숭어, 마른멸치등에는 $0.50\;{\pm}\;0.02,\;0.42\;{\pm}\;0.09,\;0.20\;{\pm}\;0.02$ 그리고 $0.55\;{\pm}\;0.04\;ppm$ selenium을 각각 함유하고 있었다. 국민 1인당 하루 selenium 섭취량은 $42.3\;{\mu}g$이며 이중 71 %는 주로 곡류와 채소에서 충당하고 있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