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온처리에 따른 완두 유모의 IAA Oxidasee 활성(活性)의 변화

Changes in the Activity of IAA Oxidase during Chilling Pea Seedlings

  • 박노동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서용택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신용광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Park, Ro-Dong (Dept. of Agricultur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Suh, Young-Tack (Dept. of Agricultur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Shin, Yong-Kwang (Dept. of Agricultur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83.06.30

초록

저온이 IAAO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암실(暗室)에서 재배한 완두(Pisum sativum L. var. Sparkle)의 유묘(幼苗)를 재료로 저온처리 기간과 그 후의 IAAO의 활성변화를 측정(測定)하였다. 줄기의 끝 5mm 부위의 IAAO활성이 그아래 5mm 부위의 그것보다 $2{\sim}3$배 낮았으며, 뿌리의 IAAO활성은 줄기의 그것보다 $4{\sim}15$배 높았다. 저온 처리시 줄기의 IAAO활성은 증가하였으나 뿌리에서는 오히려 억제(抑制)되는 경향을 보였다. 저온처리를 받은 유묘(幼苗)를 다시 정상생육 온도$(25^{\circ}C)$로 옮기면 IAAO 활성은 대조구의 수준으로 회복하는 경향이었다. 조직 부위에 따른 효소 활성의 차이가 저온에대한 줄기와 뿌리의 서로 다른 효소 활성 변화 양상은 동질효소(同質酵素)인 IAAO의 조절기구(調節機構)가 조직에 따라 상이(相異)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였으며 식물계(植物界)에 널리 분포(分布)하는 IAAO보조인자(補助因子)인 페놀 화합물류의 소장(消長)과 일부 관계가 있는 것처럼 보였다.

The indole-3-acetic acid(IAA) oxidase activity of shoot and root tips of etiolated pea seedlings (Pisum sativum L. var. Sparkle) during and after chilling was determined. The IAA oxidase level of root tips was 4 to 15 times as high as that of shoot tips. During chilling the seedlings apical and subapical 5 mm shoot sections increased in IAA oxidase activity but apical and subapical 5 mm root sections decreased. When chilled plants were returned to $25^{\circ}C$ to recover, the enzyme activity had a tendency to restore to the activity level of controlled pla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