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actical Classification of Herbicide by Two-dimensional Ordination Analysis in Transplanted Lowland Rice Field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分析法)에 의한 제초제(除草劑) 살초(殺草) Spectrum 분류(分類)에 관한 연구(硏究)

  • Published : 1982.12.30

Abstract

Herbicides were classified by two-dimensional ordination analysis based on the weed flora which was not controlled by application of a particular herbicide. The number of herbicide group was varied depending upon the weed community type and the experiment site. The technique of the two-dimensional ordination analysis gave more comprehensive informations about selecting of herbicides for increasing the herbicidal efficacy, for increasing the weed spectrum and for reducing the herbicide cost by mixing of herbicides. The two-dimensional ordination analysis could be used not only herbicide classification and selecting effective herbicide or herbicide combination but also can be used for the evaluation of systematic application of herbicides.

식물(植物) 생태학(生態學)에서 식생분석(植生分析)에 이용(利用)되는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分析法)을 사용(使用)하여 잡초군락형살초(雜草群落型殺草) spectrum을 분류(分類)하여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선발(除草制選拔), 체계처리(體系處理) 및 약제가격절감(藥劑價格節減)을 위(爲)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2개년(個年)(1980, 1981)에 걸쳐 포장시험(圃場試驗) 및 pot시험(試驗)으로 실시(實施)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26종(種)의 수도용(水稻用) 제초제(除草劑)를 pot 시험(試驗)으로 처리(處理)하여 제초제군(除草劑群)을 분류(分類)한 결과(結果) 마디꽃 (48%) - 올챙고랭이 (35%) - 알방동산이 (8%) 잡초군락형(雜草群落型)에서는 6개군(個群), 마디꽃 (45%) - 물달개비 (35%) - 바람하늘직이 (9%) 잡초군락형(雜草群落型)에서는 10 개군(個群)으로 분류(分類)되었다. 2. 포장(圃場) 시험결과(試驗結果)에 있어 18종(種)의 제초제(除草劑)를 너도방동산이 (37%) - 올챙고랭이 (19%) - 물달개비 (14%) - 피 (7%) - 사마귀풀 (6%) 잡초군락형((雜草群落型)에서 처리(處理)하였던 결과(結果) 7개(個) 제초제군(除草劑郡)으로 분류(分類)되었고, 물달개비 (40%) - 여뀌바늘 (27%) - 너도 방동산이 (17%) - 올챙고랭이 (12%) 잡초군락형(雜草群落型에)에서 19종(種)의 제초제(除草劑)를 처리(處理)하였던 결과(結果)는 14개(個) 제초제군(除草劑群)으로 분류(分類)되었다. 3.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分析法)은 제초제살초(除草劑殺草) spectrum 분류(分類)뿐만 아니라 제초제처리방법(除草劑處理方法)에 따른 문제잡초(問題雜草)를 구명(究明)하는데도 이용(利用)이 가능(可能)하였다. 4. 본(本) 시험결과(試驗結果)를 미루어 보아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사용(除草劑使用)을 위(爲)해서는 단순(單純)히 제초제(除草劑) 상호간(相互間)의 유사성계수(類似性係數)(Similarity coefficient)를 이용(利用)하는 것 보다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分析法)을 이용(利用)하므로서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선발(除草劑選拔), 살초(殺草) spectrum 증대(增大)를 위(爲)한 혼합처리(混合處理) 또는 체계처리(體系處理) 및 약제가격(藥劑價格)을 절감(節減)하기 위(爲)한 혼합처리(混合處理) 등(等)에 관(關)한 정보(情報)를 비교적(比較的) 쉽게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