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mophysical Properties of the Soybean Curd and Prediction of its Thermal Conductivity 2. The 'intrinsic' thermal conductivity of soybean protein and prediction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soybean curd

두부의 전열물성 및 유효열전도도의 추정 2. 대두단상질의 고유열전도도 측정과 두부의 유효열전도도의 추정

  • KONG Jai-Yul (Department of Refrigeration and Pood Preservation Engineering,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Busan)
  • 공재열 (부산수산대학 냉동공학과)
  • Published : 1982.08.01

Abstract

Four heat conduction models were examined for defatted soy-protein curds in order to get the 'intrinsic' thermal conductivity of soy-protein. As the result of examination, the 'intrinsic', thermal conductivities of soy-protein, frozen and unfrozen states,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series model to be 0.488 W/m.K and 0.300 W/m.K, respectively. By using the 'intrinsic' thermal conductivity values of soybean protein and the series model,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soybean curds, with and without fat, at frozen and unfrozen states, was predicted satisfactorily, The temperature dependency of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soybean curd was mostly observed to correlate with the thermal conductivity of water and ice.

1) 2성분계 도지두부의 유효열전도도($\lambda_e$)를 $0\sim20^{\circ}C$$-5\sim-20^{\circ}C$의 범위내에서 측정한 결과, 수분함양의 증감에 따라 $\lambda_e$값도 증감했으며, 동결점이상의 온도대에서는 온도의 상승과 함께 $\lambda_e$값도 커지고, 동결점 이하에서는 온도의 하강과 함께 $\lambda_e$값이 커졌다. 2) 3성분계 두부의 유효열전도는 수분함양이 증가함에 따라 $\lambda_e$값은 커져가나 지질의 함양이 증가함에 따라 $\lambda_e$값은 작아졌다. $\lambda_e$값의 온도의존성은 2성분계도지두부의 경우와 유사했다. 3)대대단백질의 고유열전도도는 미동결상태에서 $\lambda_p=0.300[W/m{\bullet}k](0\sim-20^{\circ}C)$이고, 동결상태에서 $\lambda_p=0.488[W/m{\bullet}k](-5\sim-20^{\circ}C)$였으며 이들은 실험온도 범위내에서 온도의존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4) 대두단상질의 고유열전도도의 추정치 $\lambda_p=0.300$$\lambda_p=0.488$의 타당성을 지질의 함양이 상이한 2종류의 3성분계 두부에 적용한 결과, 실측치와 계산치는 잘 일치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