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경액중(水耕液中)의 공급질소형태(供給窒素形態)에 따른 상수(桑樹)의 이온 흡수와 기관별(器官別) 분포(分布)에 관한 연구

Uptake and Content of Ions on Several Organs of Mulberry Tree(Morus alba L.) in Relation to Different Nitrogen Sources in Water Culture

  • Lee, Won-Chu (Sericulture Experiment Station, O. R. D.) ;
  • Ryu, Keun-Sup (College of Agriculture, Gyeong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82.12.25

초록

공급질소형태(供給窒素形態)($NO_3-N$, $NH_4-N$, $NH_4NO_3$)에 따라서 지상부(地上部)로 이동(移動)하는 수액중(樹液中)의 이온함량(含量)과 뽕나무의 각부위별(各部位別) (잎, 엽병(葉柄), 줄기의 피층(皮層), 뿌리)로 이온의 분포(分布)등을 관찰하기 위해 수경재배시험(水耕栽培試驗)을 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일비액의 양(量)은 $NO_3-N$구에 비해 $NH_4-N$구에는 현저히 적었다. 2. 일비액중의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은 $NH_4-N$구에서 가장 높아서, $NO_3-N$구보나 2.2배나 높았다. 그러나 시간당 한 주(株)에서 흡수되는 전질소(全窒素)는 일비액량에 비례(比例)하여 $NO_3-N$구에서 $289.6me/{\ell}$l로 $NH_4-N$보다 1.6배나 높았다. 3. $NH_4-N$구는 $Ca^{2+}$ 흡수를 제일 크게 떨어뜨렸으며, $Mg^{2+}$$K^+$, $Na^+$등은 큰 영향 받지 않았다. $NH_4-N$ 공급(供給)은 음이온의 흡수도 떨어뜨렸다. 4. $NO_3$의 환원(還元)은 뿌리와 잎에서 얼어나는 것으로 추측된다. 5. 잎에서 가장 함량(含量)이 높은 $Ca^{2+}$을 제외하고, 모든 이온이 엽병(葉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서, 엽병(葉柄)이 양분의 저장고역할(貯藏庫役割)을 하고 있으며, $NH_4-N$의 공급율(供給率)이 증가(增加)될수록 (C-A)치(値)가 일양성(一樣性)있게 감소(減少)하였다. 6. 뿌리에서 흡수되어 지상부(地上部)로 이동(移動)하는 이온의 양(量)과 뿌리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양(量)이 비례(比例)하여서 양분(養分)의 상태를 진단하는 적당한 부위(部位)로 사료(思料)된다. 7. 뿌리에서는 양(陽)이온보다 음(陰)이온의 함량(含量)이 높아서 (C-A) 값은 부치(負値)를 보였다.

Water culture experiment with mulberry (Morus alba L.)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onic composition in the exudate and the ionic content in the organs (leaves, petioles, stem cortex, and roots) of mulberry tree with three different nitrogen sources ($NO_3-N$, $NH_4-N$, and $NH_4NO_3$). 1. Amount of exudate was much lower for $NH_4-N$ than for $NO_3-N$. 2. Total nitrogen content in the exudate was the highest in the NH4-N, the order of 2.2 times than in the $NO_3-N$. However, total nitrogen amount absorbed by tree per hour was proportional with the exudate amount. As the result, total nitrogen amount was higher 1.6 times in $NO_3-N$ ($289.6\;me\;plant^{-1}\;hr^{-1}$ than in $NH_4-N$. 3. Ammonium nitrogen depressed $Ca^{2+}$ uptake critically and even all of the anions, whereas $Mg^{2+}$, $K^+$ and $Na^+$ affected little. 4. Reduction of $NO_3$ may occured both in root and in leaves. 5. Content of cations and anions was highest in petioles, except $Ca^{2+}$ which was highest in leaves. As the result, petioles may be the storage organ of nutrients. 6. By increasing $NH_4-N$, ionic balance (C-A) decreased proportionally. 7. Nutrients amount in the exudate were approximatelly proportional with the amount in the roots. This suggested that roots may be the part diagnosed for nutrients. Being the sum of anions (${\Sigma}A$) higher than that of cations (${\Sigma}C$) in the roots, the ionic balance showed negative valu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