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Cs 낙녹(落鹿)을 이용(利用)한 퇴사율(堆砂率) 측정(測定)에 관(關)하여

Determining Sediment Rate Using Cesium-137 Fallout at the Larto Lake

  • Koh, Mun-Hwan (Agricultural Sciences Institute) ;
  • McHenry, J. Rogar (Southern Plains Watershed and Water Quality Lab.)
  • 발행 : 1982.12.25

초록

1950년대(年代)의 핵실험(核實驗)에 의(依)하여 생긴 방사능(放射能) 동위원소(同位元素)는 토양(土壤)이나 퇴사(堆砂)에 다양(多樣)하게 포함(包含)되었다. 이들 방사성(放射性) 동위원소(同位元素) 중(中)에서 $^{137}Cs$은 미세토양(微細土壤) 입자(粒子)에 고착(固着)하는 성질(性質)이 크고 방사능(放射能)의 발산량이 많고 균일(均一)하기 때문에 퇴사과정(堆砂過程)을 평가하는데 이용(利用)이 가능(可能)하다. 미국 Louisiana 주(州) Larto호(湖)에서, 낙진(落塵)된 $^{137}Cs$에 의(依)해 1958년(年) 이내로 퇴사속도(堆砂速度)를 측정(測定)한 바에 의(依)하면 연평균(年平均) 1.6~3.1cm로 퇴사(堆砂)되고 있으며, 가장 많이 퇴사(堆砂)된 곳은 70cm까지 퇴사(堆砂)되었음이 밝혀졌다. 또한 해를 거듭할수록 퇴사(堆砂)되는 율(率)이 적어지고 있으며, 퇴사(堆砂)의 입도분포(粒度分布)는 호수(湖水) 전체에 거의 $20{\mu}$이하(以下)의 미세입자(微細粒子)가 분포(分布)하고 있었다.

Soils and sediments have been uniquely tagged by radioactive isotopes as a result of nuclear test explosions in the 1950's and 1960's. Fallout $^{137}Cs$ strongly fixed to fine soil particles, was measured in sediment profiles in Larto Lake to calculate the sedimentation rate as a time dependence. The Lake sediment profiles indicated an average rate of 1.6 to 3.1 cm/yr of sediment deposition since 1958. The rate of sediment depositions clearly decreased with time.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sediment was reflected almost fine particles in lak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