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수율(搗精收率)과 성능향상(性能向上)을 위(爲)한 연구(硏究)(II) -벼의 정백과정(精白過程)에 대(對)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illing Recovery and Performance(II) -Experimental Study on Rice Whitening Mechanism-

  • 발행 : 1982.06.30

초록

이 연구(硏究)는 정백과세중(精白過稅中)에 발생(發生)하는 도정산물(搗精産物) 즉, 정백미(精白米), 미당(米糖), 쇠미등(碎米等)의 발생(發生)을 조사(調査)함으로써 현미(玄米)의 정백(精白)이 진행(進行)되는 과정(過程)을 밝히고자 함이다. 본(本) 실험(實驗)에서는 분풍마찰식(噴風摩擦式) 정미기(精米機)를 사용(使用)하였으며, 정미기(精米機)의 롤러 회전속도(回轉速度)를 850rpm으로 고정(固定)하고 출구저항(出口抵抗)은 3가지 수준(水準)으로 변화(變化)시켰다. 한편 이 실험(實驗)에 사용(使用)된 벼는 밀양 23호(號)로써 전형적인 통일계품종(品種)의 일종(一種)이다. 매순환(每循環)마다 생산(生産)되는 정백미(精白米) 및 부산물(副産物)로부터 sample를 채취(採取)하여 미당(米糖), 대소쇄미(大小碎米), 완전미(完全米) 및 도정수율(搗精收率)을 분석(分析)하였다. 실험결과(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체당층(全體糖層)의 75%가 2번째 순환이내(循環以內)에서 제거(除去)되었다. 당층제거율(糖層除去率)은 출구저항(出口抵抗)에 크게 영향(影響)을 받으며, 높은 출구저항(出口抵抗)에서 높은 당층제거율(糖層除去率)을 보였다. 2) 대쇄미(大碎米)의 발생(發生)은 대부분 정백과정(精白過程) 초기단계(初期段階)에서 이루어 졌으며, 완전미(完全米)로 부터의 새로운 쇄미발생(碎米發生)은 순환(循環)이 반복(反復)됨에 따라서 급격(急激)히 감소(減少)하였다. 출구저항(出口抵抗)과의 관계(關係)는 출구저항(出口抵抗)이 증가(增加)할수록 대쇄미(大碎米)의 발생(發生)도 증가(增加)하였다. 3) 미당집적기(米糖集積器)로부터 채취(採取)한 sample에서 측정(測定)한 소쇄미(小碎米)는 양적(量的)으로 다른 도정산물(搗精産物)에 비(比)해 적은 편이었다. 8%의 미당(米糖)이 제거(除去)된 후(後) 소쇄미(小碎米)는 현미중량(玄米重量)의 0.6% 이하(以下)로 나타났다. 4) 도정수율(搗精收率)과 완전미수율(完全未收率)은 어느 정도 출구저항(出口抵抗)의 영향(影響)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구저항(出口抵抗)이 증가(增加)함에 따라서 특히 완전미수율(完全未收率)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기 때문에 백미(白米)의 질적저하(質的低下)를 막기 위해 높은 출구저항(出口抵抗)(본(本) 실험결과(實驗結果)에 의(依)하면 85g/$cm^2$)을 사용(使用)하는 것은 부적당(不適當)한 것으로 사려(思慮)된다. 5) 백도계(百度計)의 측정치(測定値)와 미당제거정도(米糖除去程度)(정백도(精白度)) 사이에는 고도(高度)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그러므로 "KETT"제(製) 백도계(百度計)는 정백미(精白米)의 정백도(精白度)를 판명(判明)하는데 사리(使利)하게 사용(使用)될 수 있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