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heritance of Branched Spike of Wheat

밀 분지성수의 유전연구

  • Published : 1982.06.01

Abstract

Two strains of branched wheat introduced from CIMMYT were crossed with two varieties of normal headed common wheat (Triticum aestivum L.). The number of genes conditioning branching trait in the two strains was determined from the studies of $F_1$ and $F_2$ populations under longday and shortday conditions. Branching strains PH 119 appeared to have three recessive genes and PH 127 two receive genes. The segregating ratio of branching vs normal was unaffected by the different photoperods but the expression of branching trait was little more vigorous under the shortday condition. Both PH 119 and PH 127 had a single dominant gene for glume pubescence. Association between branching trait and glume pubescence was determined with the $X^2$ -test for independence. Glume pubescence was not associated with branching in PH119 $\times$ Chugoku 81 but was associated in PH119 $\times$ Olmil (p < 0.05).

일수립수가 보통소맥보다 월등히 많은 분지성소맥의 분지성과 부모용의 유전현상을 구명하고자 분지성 소맥 $\overline{PH}$ 및 PH127에 올밀과 중국 8001를 교배하여 얻은 4개 조합의 $F_1, $F_14, 가 집단과 양친을 고온단일 및 고온장일하에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전조합에서 $F_1$이 정상수로 나타나 분지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열성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2. 분지성의 유전양식은 쓰여진 재료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 PH127은 2쌍의 열성유전자에 의하여 PH119은 3쌍의 열성유전자에 의하여 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분지성의 표현은 일장에 의하여 그 분리비가 변하지 않았으나 단일조건에서 분지의 발육이 왕성한 편이었다. 4. PH127 및 PH119의 부모용은 단순우성유전자에 의하여 지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용은 PH119\times중국8001에서 분지성과 독립인 것으로 그러나 PH 119$\times$올밀에서는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