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rculation and Diffusion in Suyeong Bay

수관만의 해수유동과 확산지성에 관한 연구

  • Kim, Young-seupHan, Young-ho (Gunsan National Fisheries Jnnior College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Busan)
  • 김영섭한영호 (군산수산전문대학부산수산대학)
  • Published : 1982.06.01

Abstract

Simultaneous investigations for drift bottle and dye diffusion experiment were carried out in Suyeong bay. Seawater in Suyeong bay flowed differently in the vicinity of Suyeong river estuary and Nam-cheon Dong respectively. The speed of current did not exceed one knot in this bay. The dye patch moved to Kwangan beach in the dye diffusion experi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apparent diffusivity and diffusion time was appeared as Ka=0.0025t super(1.9). The variance was calculated to be 2.9 power of the diffusion time. And the exponent diffusivity versus the scale of diffusion time was appeared to be 1.3.

표류병 및 염료확산실험을 통하여 수영만의 해수유동과 확산특성을 조사하였다. 밀물 때 해수는 동백섬 남서단에서 시계방향으로 돌아서 동백섬 서단으로 흐르고, 이기대 북동단 부근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서 동국제강 앞쪽으로 흘렀다. 이때 유속은 동백섬쪽에서 약 1놋트 정도였고 이기대 부근에서 약 0.3놋트였다. 썰물 때 해수는 수영강 하구와 동백섬 남서쪽으로부터 만의 중앙부근을 거쳐 만외로 흘러나가고 남천동과 동국제강 앞쪽에서는 시계방향으로 돌아서 수영강 하구에서 흘러나오는 해수와 합류하여 만 바깥으로 흘러 나갔다. 유속은 만의 중앙과 남천동 앞쪽으로 약 1놋트 정도로 빨랐고 광안해수욕장 앞에서 약 0.2놋트 정도로 느렸다. 염료의 확산성은 광안해수욕장 쪽으로 이동하였으며 90분 후 겉보기 확산계수는 3.9$\times$10 super(2) cm super(2)/sec 정도였다. 이 값은 진해의 1.2$\times$10 super(3) cm super(2) /sec 보다는 큰 값이지만 고리해역의 7-8$\times$10 super(3) cm super(2) /sec에 비하여 1/2에 불과하다. 확산시간에 대한 분산지수는 2.9, 확산규모에 대한 겉보기 확산계수는 1.3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