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RUCTION PROCEDURE OF TOOTH POSITIONER

Tooth Positioner의 제작에 관해서

  • Kyung, Hee Moon (Dep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Kyung Book National University) ;
  • Sung, Jae Hyun (Dep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Kyung Book National University)
  • 경희문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성재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Published : 1982.06.01

Abstract

Tooth Positioner는 band를 제거한 후 가능한 빨리 장착시켜야 susceptible하며 무엇보다도 환자의 생리학적 jaw movement를 설정해서 제작해야 하고 적어도 hingeaxis relation은 찾아서 제작해야한다. Positioner의 장착시간은 하루에 $3\~4$시간의 active biting exercise와 수안시간동안 사용하게 한다. 처음 장착시에 가장 tight하고 이 tightness 는 치아가 요망되는 위치로 근접함에 따라서 점차 감소되고 이 tightness의 감소가 작용효과의 가장 좋은 지침이 되며 자는 하루 하루 그 변화를 느껴야 한다. Positioner가 느슨하게 적합되고 좋은 교합관계를 보이면 장착을 수안시간동안으로 제한시키거나 혹은 깨어 있을 동안 한 두시간 장착하게 한아. 대개 $3\~4$주 후에 predetermined pattern과 유사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장착 후 $8\~10$주 후에 더 장착할 것인가를 결정하고 필요성이 없다면 conventional retainer로 바꾸어 준다. Tooth Positioner는 기능적인 구호흡, thumb sucking, snoring을 해소시켜 줄 수 있으며 jaw relationship이나 overbite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chair time을 감소시켜 줄 수 있으며 tissue tone을 자극해서 치아위치를 증진시키는데 끊임없이 작용한다. 그러나 제작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 치아를 배열하는 술자의 능력에 따라 치료효과가 많이 좌우되며 너무 bulky하므로 이물감이 커서 유용하게 장착할 수 있는 시간이 제한적이고 natural muscle balance에 대해 간헐적인 교정력을 가함으로써 치아를 loosening 시킬 수 있다. 이 장치물은 다른 removable appliance와 같이 환자의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환자에게 장착동기를 유발시켜 주는 것이 좋으며 True Blocked Nasal Airway가 있는 환자에게는 금기증이 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