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질소(重窒素)를 이용(利用)한 수도품종(水稻品種) 및 시용시기(施用時期)에 따른 토양(土壤) 및 시비질소(施肥窒素)의 효율 III. $^{15}N$ 비료(肥料)의 추비포장시험(追肥圃場試驗)

Efficiency of Soil and Fertilizer Nitrogen in relation to Rice Variety and Application Time, Using $^{15}N$ Labeled Fertilizer III. Top-dressing with $^{15}N$ fertilizer in fields

  • 발행 : 1982.09.30

초록

유수형성기추비(幼穗形成期追肥)(30%)한 표식질소(慓識窒素)의 이용율(利用率)은 $23{\sim}61%$(5개포장(個圃場))였으며 품종간차이(品種間差異)가 없었다. 고수답(高收沓)에서 추비질소(追肥窒素)의 이용율(利用率)이 컸으며 식물체내비료(植物體內肥料) 유래질소(由來窒素)의 50% 이상(以上)이 유수형성기이후(幼穗形成期以後)에 흡수(吸收)된 것으로 보였다. 정조(正租)에서 중질소과잉율(重窒素過剩率)이 가장 컸으며 이는 추비(追肥)된 질소(窒素)가 정조(正租)로 쉽게 전류(轉流)됨을 나타낸다. 일반계(一般系)보다 통일계(統一系)에서 정조(正租)와 엽간(葉間)의 중질소과잉율(重窒素過剩率)의 차이(差異)가 커서 통일계(統一系)에서 질소(窒素)의 전류(轉流)가 빠른것을 나타낸다. 지상부추비유래질소(地上部追肥由來窒素)는 $14{\sim}27%$였다. 특별(特別)한 관리(管理)를 한다면 포장조건(圃場條件)에서 중질소이용(重窒素利用)한 시험(試驗)은 처리당(處理當) 2구(區)에 구당(區當) 3주(株)로 충분(充分)할 것 같다.

Use efficiency of top-dressed labelled nitrogen(30% at ear formation stage) ranged 23 to 61%(five fields) with no clear difference between varieties. In high yield soil the use efficiency of top-dressed nitrogen was higher and more than 50% of fertilizer nitrogen in plant seemed to be taken up after ear formation, $^{15}N$ excess was greatest in grain indicating that top-dressed nitrogen translocates easily to grain. The difference of $^{15}N$ excess between grain and straw was greater in Tonsil line than in the local indicating faster nitrogen translocation in Tangil. Percent nitrogen derived from top-dressed nitrogen ranged 14 to 27% in aerial part. Two 3-hill plots per treatment could be enough for $^{15}N$ experiment under field condition if there is specific ca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