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계지역(臨溪地域)에 분포(分布)하는 각섬석질암(角閃石質岩)의 성인(成因)

Origin of Massive Amphibolitic Rocks in Imgye Area, Korea


초록

옥천지향사내의 동북부에 위치한 임계(臨溪)지역의 각섬석질암(角閃石質岩)은 그 산출상태가 괴상(塊狀)이며 곳에 따라 주변암석과 비상합적(非相合的)으로 보이나 아직까지 이들 암석에 대한 성인구현(成因究現)은 전무한 상태이고, 부근에는 많은 은전상(銀錢床)이 부존되어 있어 이들 암석의 정확한 성인구명(成因究明)은 매우 중요할것으로 사료된다. 소칠섭(蘇七燮)(1975)에 의한 본지역 및 각섬석질암(角閃石質岩) 시료의 지화학적(地化學的)인 고찰은 화성기원(火成起源)으로 사료되었으나 그 대상시료가 소수여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한바, 본 연구에서는 많은 시료의 주성분(主成分)및 희유원소(稀有元素)들의 변화(變化)경향(variation trend), 절대적 함량을 야외산출상태 및 광물학적(鑛物學的)인 연구와 병행하여 이미 밝혀진 국내외의 여러 각섬석질암(角閃石質岩)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그 성인(成因)을 밝혔다. Niggli 값을 사용한 각종 도면에서 본 암석(岩石)들은 염기성(鹽基性) 화성암류(火成岩類)의 중기분화물(中期分化物)인 특성을 암시하며, 희유성분(稀有成分)으로서 Ni (58~132ppm) 및 Cr (58~184 ppm)의 함량은 화성기원(火成起源)의 trend를 보여준다. 또한 모든 시료에서 나타난 oxidation ratio (<30)도 관입암(貫入岩)의 특징을 나타내 주고있다. 이들의 결과는 기히 연구된 외국(外國)의 정일각섬석질암(正一角閃石質岩)外國EJ 正一角閃石質岩(Evans and Leake, 1960. Leake, 1964) 및 국내 정일각섬석질암(正一角閃石質岩)의 연구(소칠섭(蘇七燮), 1974, 1975, 1976) 결과와도 일치한다.

Major and trace elements analyses are presented for 13 amphibolites by wet chemical and emission spectroscopic methods. These chemical data were compared with limestone and quartzit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mphibolites. The chemical similarity of the amphibolites studied to the basic igneous rock and low oxidation ratios (<30) are indicative of the igneous intrusive, especially middle stage differentiates. Petrographic and stratigraphic study of the rocks suggest the more igneous features rather than those of sedimentary progenito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