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남부연안 미역양식장의 병충해

Some Seaweed Deseases Occurred at Seaweed Farms along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 강제원 (부산수산대학 양식학과)
  • KANG Jae-Won (Department of Aquacultur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Busan)
  • 발행 : 1981.09.01

초록

우리나라 미역양식의 발상지인 동해남부연안의 미역양식장에서 세균성이라고 생각되는 미역녹반증과징소갑각류의 기생에 연한 바늘구멍증, 미역 속구멍증 등의 병충해와 계장홍조류인 플리시포니아의 착생에 인한 피해를 확인할 수 있었다. 1. 김 녹반증과 유사한 녹색의 반점이 미역엽상체의 하반부에 나타나서 점차 확대되면서 반점의 조직이 붕괴하여 녹색의 테두리를 가진 구멍이 엽면에 생긴다. 엽상체 끝 부분의 구명은 더욱 확대 유합하여 끝 녹음을 조장하는 결과가 된다. 이 병증은 동일양식장에서도 중심부일수록 피해가심하고 주녹부, 특히 외해쪽은 피해가 적었다. 이 병증이 있는 엽체는 외관상 건전한 엽체보다 $70\sim100$배 더 세균에 오탁되어 있었으며 병증이 있는 엽체에서 분리된 세균중에서 다음 여에 속하는 균주가 많았다. Moraxella, Acromobacter, Vibrio, Flavobacterium, Acinetobacter, Pseudomonas. 2. 엽체에 1열로 동일간격으로 $5\sim10$개의 미세한 바늘구멍을 여기 저기에 볼 수 있었고 이들 바늘구멍이 다소 불규칙하게 모여 있는 것도 희구했다. 이것은 요각류인 Harpacticoid의 1종인 Thalestris sp.의 기생에 의한 것이다. 이 기생이 발견되었던 초기는 3월경에 나타났었으나 점차 출현시기가 앞당겨져서 지금은 전등의 12월부터 출현한다. 3. 단각류의 1종인 미역속별레, Ceinina japonica Stephesen이 중륵에 기생하여 엽상체 유실의 원인도 되고 심한 것은 중륵에서 종으로 엽상체가 2분되는 것도 있었다. 이것은 양식말기에 주로 나타난다. 4. 조간대 암상에 생육하는 폴리시포니아 Polysiphonia spp.가 종연와 함께 씨줄에 다수 착생하였다가 양식장에서 미역 유아와 경합을 하여 미역 착생면을 차지하여 피해를 준다. 끝으로 본 조사는 1980등도 문교부연구조성비로 수행되었으며, 세균을 분리동정해 주신 장동석 교수와그의 교실원에 감사한다.

Recently an unknown microbial desease and some parasitic crustaceans are prevailing in the sea-weed farms of Uudaria pinnatifida along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1) Green spots probably caused by the microbial pathogens were found on the fronds of Undaira Pinnatifide. Particularly they were densely distributed on the distal half of the fronds. The tissues of the green spot area rot off, and small holes with green colored margin are formed. The holes at the distal part of the fronds are enlarged and they finally coalesced each other. Then this process accelerates decaying of the distal ends of the fronds.. The fronds growing in the central part of the farms are usually severely damaged, whereas in the marginal area of the farm toward the open sea side the damage is less serious. An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deseased fronds bore a number of viable bacteria, $6.8\times10^5\;to\;1.2\times10^6$ per gram at $15^{\circ}C$, whereas the healthy fronds $1.1\times10^4$. Twenty-six kinds of colonies, 247 strains of bacteria, were isolated from deseased fronds, belonging to Moraxella, Achromobacter, Vibrio, Flavobacterium, Acinetobacter, Pseudomonas, etc. (2) Pinholes occurred in one series on the frond. They were probably caused by a harpacticoid copepod, Thalestris sp. Seven years ago when the disease was first found to occur the copepod was observed on the fronds from March of the year. Recently, however, they have been found as early as December of the previous year. (3) A gammarid amphipod, Ceinina iaponica, invades the pith of the midrib through holdfast of thalli. This rarely causes the longitudinal seperation of the entire frond through the midrib as they bore a tunnel in the pith. Sometimes holdfasts of tile heavy damaged thalli make the frond departed from the substrat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