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Plant Spacing on Light Environment, Yield and Quality of Burley Tobacco

Burley종의 재식거잡가 광환경, 수량 및 품종에 미치는 영향

  • 배성국 (한국인삼연초연구소 전주시험장) ;
  • 임해건 (한국인삼연초연구소 전주시험장)
  • Published : 1981.06.01

Abstract

The evaluate the effect of plant spacing on cured leaf of burley tobacco, the row spacings divided to 90, 105, 120cm and hill spacings to 30, 35, 40cm within each row. Growth amount per plant increased with thinner row and wider hill spacing in the same planting density. Relative light intensity increased with thinner row spacing in cutters and leaf and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When the planting density was equal, the wider hill spacings, the more effective in utillization of solar radiation. The more plants per l0a were, the greater yield was obtained, and in the case of 3,200 plants per 10a (the most dense planting plot) was 267kg. But, quality, total-alkaloid and total-nitrogen content decreased with dense planting. Value per 10a was highest in the plots of 90 $\times$ 40cm and $105{\times}40cm$. In conclusion the optimum density level was 2,400 to 2,700 plants per 10a and spacing of tobacco either in 105 $\times$ 35 cm or 105 $\times$ 40cm seems to be most appropriate.

담배 품종은 Burley 2001를 공시하여 휴간을 90, 105, 120cm로 하고 주간을 각각 30, 35, 40cm로하여 재식밀도 및 재식거리 Burley종의 수량 및 품종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알맞는 재식거리를 구하고자 시험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1. 간경 및 최대도 등 1주당 생장량은 소식할수록 컸고, 같은 재식밀도에서는 주간을 넓힌 처리에서 더 컸다. 2. 후기생육은 밀직할수록, 같은 재식밀도에서는 휴간을 넓힐수록 완만하였다. 또한 주당 엽면적, 단위 엽면적중은 소식할수록 증가하는 반면 엽면적수는 밀식할수록 증가하였다. 같은 재식밀도에서는 단면적, 단위 엽면적중, 엽면적지수 모두 주간을 넓힌 처리에서 증가하였다. 3. 수광율은 소식할수록 중.본엽에서 더 많아 품종과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착엽각도도 켰다. 동일 재식밀도에서는 주간을 좁히고 휴간을 넓힌 처리에서 주당 생장량이 적으므로 수광율은 증가했으나 착엽각은 좁아서 1주면적당 일사량 이용은 주간을 넓힌 처리보다 더 적을 것으로 본다. 4. 밀식할수록 수량은 증가했으나 품질과 내용성분은 저하였고, 이에 대금은 90$\times$ 40 > 105$\times$ 40cm로 2,700주/10a에서 많았고, 같은 재식밀도에서는 수량, 품종 대금 모두 휴간을 좁히고 주간을 넓힌 처리에서 증가했으나 처리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 결과에서 재식밀도는 2,400~2,700주/10a로 토양비옥도에 따라 가감해야 할 것이고 재식거리는 작업의 성력화를 위해 휴간을 다소 넓힌 105$\times$ 35, 105$\times$40cm로 재식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