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f Transplanting Dates on Some Characteristics of Rice Varieties

생육기간의 차이가 수도 지상부 형질변이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81.06.0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influence of different cultivation periods on some morphological and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rice plant at Iri, the Honam plain, in 1979. Early maturing varieties showed little delay in heading with late transplanting, but intermediate and late maturing varieties showed more than 7 day delay in heading. The number of days required to reach heading was over 55 and 67 days after transplanting in early and intermediate-late maturing varieties, respectively. There was significantly post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ngth of vegetative stage and the grain yield. The mean temperature during ripening perio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grain yield and the percentage of filled grains. The length, width, and thickness of leaf increased with earlier transplanting and the elongation degree between upper and lower leaves showed the same tendency. The productivity of dry matter and the translocation rate of photosynthate to spikelet decreased with late transplanting mainly due to low temperature. LAI was also influenced by transplanting date showing close correlation with yield. Early transplanting was desirable for assimilation and dry matter accumulation.

재배시기 이동에 따른 생육환경의 차이가 수도생태 특성 및 형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79년 평야부인 이리에서 호상조생, 수원28004, 이리338호, 밀양4002를 공시하여 5월21일부터 10일 간격으로 이앙하여 시험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이앙기와 품종에 따라 다르며, 조생품종은 만식하여도 출수지연 정도가 비슷하나 중만생 품종은 만식할수록 출수지연 정도가 7일 이하의 큰 차를 보였다. 2. 이양에서 출수까지 소요일수는 조생 품종은 55일, 중만생 품종은 67일 이상이며 이리338호와 밀양4002는 6월 20일 이후 이앙에서는 이앙기간에 출수일수의 차이가 없었다. 3, 영양생장기의 장단이 도체내 물질축적과 상관되는바 크고 수량과도 고도의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므로 영양생장기간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조파조식이 요망되었다. 4. 유수형성기와 이삭으로의 물질이행 기간중엔 23$^{\circ}C$이상의 고온이 요구되며 품종의 조만성을 감안 조기이앙으로 등숙을 높임이 바람직하였다. 이 기간중의 평균 온도와 수량, 등열율과는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 5. 엽신장, 엽폭, 엽후는 조식할수록 높았으며 엽위별 엽신장은 3엽, 엽폭은 지엽, 엽후는 2엽장에서 증대되었다. 6. 수량생산기관과 수용기관과의 관계는 수당 진화의 차생이 엽신중에 비하여 높아 만식할수록 높았고, LAI는 만식할수록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수량과는 정의 상관을 이루었다. 7. 출수기의 엽신중은 수량과 정의 상관을 보였다. 8. 수도의 부위별 특성은 품종과 이앙기에 따라 달라졌는데, 5월 31일 이앙기를 정점으로 건물생산역 및 형질 변이가 만식할수록 낮았다. 9. 이삭으로 간중의 물질이행은 저온기에 등열기를 경과하는 만식일수록 낮아졌다. 10. 절간의 신장력 및 부위별 절간중의 변이는 이앙기의 조만에 따른 생육기간중의 온도 및 생육일수에 영향을 받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