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xonomic Studies on Korean Oaks-Quercus- by Pollen Protein Analysis

한국산 참나무속 식물의 화분단백질분석에 의한 분류학적 연구

  • 이유성 (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조무연 (임업시험장)
  • Published : 1981.12.01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the obtained serological data would reveal: (1) grouping among basic Quercus species, (2)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within and among any detected grouping, and (3) the comparative value of new serological technique, "rocket immunoelectrophoresis". Overal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indicate the genus Quercus is distantly separated from the Fagus. Within the Quercus, the subgenus Cyclobalanopsis is separable from the Lepidobalanus. But the elevation of the Cyclobalanopsis to the rank of a separate genus is not warranted. Antisera produced to the species belonging to Lepidobalanus gave strong reactions with other experimental species in the same subgenus. Particularly, Q. aliena, Q. donarium, and Q. serrata are tied up each other in terms of serological similarity. Rocket immunoelectrophoresis used in this systematic research proved to be a valuable new technique for systematic serology. To obtain the degree of protein similarity (serological correspondence) this technique was used in plant systematic research and determined by sum of total rocket heights. The rocket immunoelectrophoresis illustrated the measurement of individual immunoprecipitin systems identical or partly identical to those in the reference-reaction as quantitation of all available rocket heights.t heights.

본 연구는 화분단백질을 대상으로 Quercus속 기본종간의 grouping 확인과 그들간의 유사도를 혈청학적 방법으로 결정하고, rocket immunoelectrophoresis의 기술적 가치와 계통분류학적 가치를 논의하였다. 전반적인 정량적, 정성적 data로 보아 Quercus속이 Fagus속과는 멀리 분리되고, Quercus 속내에서는 Cyclobalanopsis 아속이 Lepidobalanus 아속으로부러 뚜렷하게 분리된다. 그러나 Cyclobalanopsis아속이 독립된 속계급까지의 승격은 보증되지 못한다. Lepidobalanus아속에 속하는 종들로 생산된 면역혈청은 같은 아속내의 종들과의 반응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특히 Q. aliena, Q. donarium, Q. serrata는 혈청학적 유사도에 있어서 상호일동으로 나타났다. Q. acutissima는 상기한 종들로부터 약간 멀어진 것 같고, 잡종인 Q. acutissima$\times$variabilis와는 거의 동일성을 나타냈다. 본 계통분류학적 연구에 이용된 rocket immunoelectrophoresis는 새로운 기술로서 그 가치가 증명되었다. 단백질 유사성의 정도를 얻기 위하여 이 기술이 응용되었는데, 모든 rocket height의 총 합계로 결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