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엽수 동령 인공림내 개목들의 저적면적빈도분포에 의거한 종내경쟁에 대한 고찰

A Consideration on Intraspecific Competition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Basal Area-class Structure of Even-aged Coniferous Monocultures

  • 오계칠 (서강대학교 이공대학 생물학과)
  • 발행 : 1981.03.01

초록

1979년 및 1980년에 경기도 광릉과 양주군 수동면에서 저적면적계의 빈도분포의 skewness와 kurtosis를 검정하기 위하여 총 46개의 단일종 조림지에서 개목의 주변장을 흉고에서 재었다. 이들 조림지는 10~50년된 것이며 수종은 잣나무, 낙엽송, 전나무 및 리기다소나무이다. 각 지소에서의 측정수는 70~110이며 저적면적계의 수는 Sturge의 방식에 따랐으며, 5~10계였다. 수동에 있어서 나이(년)와 개목 저적면적($\textrm{cm}^2$)은 각각 10~20 및 27.60~383이었으며, 광릉에서는 15~47 및 102.15~619.14이었다. 한 곳을 제외하고 모든 곳에서 +g$_1$값을 나타냈고, 6개소를 제외하고는 그 값이 0.3~2.2였다. 23곳에서는 유의한 +g$_1$값을 나타냈다. 이들의 저적면적계수는 6~9였다. 이상의 사실은 종내경쟁이 약 10년된 조림지에서도 시작되며 약 50년까지도 계속됨을 시사한다. 24개소에서 -g$_2$값을 나타내며 이들의 값은 -0.12~-0.83의 범위였다. 약 20곳에서는 +g$_2$값을 나타냈으며 그 범위는 +0.13~+3.841이었다. 22개의 +g중 11채는 매우 유의한 것이었다. 단지 5만이 유의한 Kolmogorov-Smirnov 검정결과를 나타냈다. 4종중 낙엽송이 가장 나이 어린 시절에 종내경쟁을 시작하고 그 다음이 전나무 그리고 잣나무의 순으로 경쟁을 시작하는 것 같다. 이 자료는 저적면적계의 빈도분포를 통하여 종내경쟁을 탐지하고자 할 때 적정 계(급)수는 12이상이 아니고 6~9이며 적정 관측목수는 100이상이 아니고 약 80임을 시사한다. 필자는 저적면적의 빈도분포가 종내경쟁이 있을 때에는 bimodal 분포라기 보다는 trimodal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고 생각하며 또한 종내경쟁이 약화되어 저적면적빈도분포가 정상분포 단계에 도달되기 전에 바로 platykurtic분포로 되는 것이 아니고 leptokurtic 분포적 단계를 거친다고 본다

Girth at breast height was measured to test skewness ($g_1$) and kurtosis ($g_2$) of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basal area in terms of t-test and Kolmogorov-Smirnov test for a total of forty six monocultures within Sudong and Kwhangnung area in central part of Korean peninsula in 1979 and 1980. The monocultures are about 10 to 50 years old, and four kinds: Pinus koraiensis, Larix kaempferi, Abies holophylla and Pinus rigida. Most of the sample sizes per site were ranged 70 to 110 excluding 4 sites. The number of classes interval was based on Sturges rule for each monoculture and was ranged from 5 to 10. In Sudong the range of age(yr) and basal area (($cm^2$)/tree) of the monocultures were from 10 to 20 and from 27.60 to 383. for Kwhangnung they were from 15 to 47 and mostly 102.15 to 619.14, respectively. All 43 monocultures except 1 showed +$g_1$, which ranged from 0.3 to 2.2 except six sites. Of the total 46 sites, 23 sites showed significant +$g_1$ which includes about 10 year-old monoculture. The number of classes interval with significant positive skewness ranged from 6 to 9. The data suggest that intraspecific competition in terms of stand structure seems to appear from about 10 year-old monocultures, and it may even last to about 50 year-old one. Around 24 monocultures showed nonsignificant -$g_2$ except one. Most -$g_2$ ranged from -0.12 to -0.83. Around 20 monocltures showed positive $g_2$ ranging from +0.13 to +3.841. Of the 22 +$g_1$, majority of 11 were very highly significant. Of all monocultures only 5 showed significant result from Kolmogorov-Smirnov test. Of the 4 species, Larix kaempferi seems to show density stress first then Abies holophylla, and Pinus koraiensis last. Data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dequate number of classes intervals and sample sizes for studying intraspecific competition in terms of basal area are 6 to 9 and 80 trees rather than 12 and 100 trees, respectively. It also suggests that most of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basal area class are trimodal rather than bimodal under density stress. It is proposed that the leptokurtic distribution appears before normal distribution rather than direct change from platykurtic to normal distribution of basal area for selected stages in the development of stand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