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al Isotope-Aided Studies on River Water and Ground Water Interaction in the Region of Seoul Part I: Isotope Hydrology of the Shallow Alluvial Aquifer Han R. Valley

동위원소를 이용한 서울 지역의 강수와 지하수와의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 제 1 보 : 동위원소를 이용한 한강류역 충적대수층 지하수의 수문학적 연구

  • Jong Sung Ahn (Korea Advanced Energy Research Institute) ;
  • Jae Sung Kim (Korea Advanced Energy Research Institute) ;
  • You Sun Kim (Korea Advanced Energy Research Institute) ;
  • Peter Airey (Australian Atomic Energy Commission-Research Establishment) ;
  • Bryan Payn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 Published : 1981.06.01

Abstract

A preliminary study of the isotope hydrology of the Han River Valley is presented. This investigation is part of a project whose overall aim is to relate the levels of heavy metal ions to the dynamics of the groundwater movement in order to establish (i) whether there is any evidence for the deterioration in groundwater quality associated with the release of industrial effluents and (ii) if so, to determine the migration path-ways. Evidence is adduced that the recharge mechanism is principally determined by the degree of urbanis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river recharge dominates probably due to the combined effects of reduced infiltration and increased pumpage. In the inter-urban region, the major source of recharge is local precipitation. During the spring sampling period when the river levels were low. evidence was obtained for appreciable groundwater infiltration in the vicinity of the upstream transect.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levels of heavy metals in the groundwater, and the recharge mechanism, the distance from the river or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amples.

한강유역 강수와 지하수와의 상호연계를 환경동위원소 중수소, 삼중수소 및 산소-18을 이용하여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보고는 \circled1 산업폐수의 방출이 지하수질의 악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와 \circled2 영향이 있다면 어떤 경로를 통하여 침투되어 이동되는가의 연구목적의 일환으로서 지하수 다종특성 중금속 ion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지표수로부터 지하수로의 물 주입기작은 주로 도시화의 정도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서울 도심지역에서는 강수가 지하로의 유입되는 경우가 적고, 또한 이 지역에는 인구밀도가 높아서 지하수를 펌프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지하수위가 낮게되므로 강수가 지하수로 유입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외의 상류나 하류의 삼림지나 농림지에서는 지하수의 급원은 주로 강수가 원천이 된다. 그리고 강수량이 적은 봄에는 강수위가 낮아지기 때문에 한강상류지역에서는 지하수가 강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지하수중에 중금속수준, 유출동태, 강으로부터의 거리 및 강수와 지하수 사이의 전기전도도 사이에는 특별한 상호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