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統計의 現況과 將來 - 統計理論

  • 백운붕 (고려대 통계학과)
  • 발행 : 1981.12.01

초록

주어진 제목이 '통계이론'으로 되어 있으나 이것을 '이론통계학'이라고 바꾸어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Cox와 Hinkley의 "Theoretical Statistics (1974)"가 연상되어 통계학의 이론적인 기초인 Likelihood, Sufficient statistics 등의 개념과 더불어 Statistical inference, Asymptotic theory, Decision theory 등 소위 순수이론통계학을 대상으로 하는 것같이 느끼게 된다. 그런데 여기에 주어진 제목이 이러한 협의의 이론통계학에 대한 현황과 장래를 논의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는 없다. 더구나 다른 사람들에게 주어진 논제들을 살펴볼때 응용을 직접 목적으로 하는 방법론이 아닌 광의의 통계이론 또는 협의의 수리통계학이라고 해석함이 옳을 것 같다. 그러므로 이러한 의미에서 통계이론과 이론통계학을 같은 차원의 넓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그러면 구체적으로 어떠한 통계이론을 대상으로 하여 이것이 한국에서의 통계이론의 현황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인가\ulcorner 이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지 않을 수 없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