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Corynebacterium parvum on Immune Response to Sheep Red Blood Cells

Corynebacterium Parvum이 면양적혈구(緬羊赤血球)에 대(對)한 면역반응(免疫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

  • Oh, Jong-Hyun (Immunology Section, Institute for Medical Science, Jeonbug National University and Department of Microbiology, Jeonbug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Lee, Hern-Ku (Immunology Section, Institute for Medical Science, Jeonbug National University and Department of Microbiology, Jeonbug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Ha, Tai-You (Immunology Section, Institute for Medical Science, Jeonbug National University and Department of Microbiology, Jeonbug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오종현 (전북대학교 부설의과학연구소 면역학분과 및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 이헌구 (전북대학교 부설의과학연구소 면역학분과 및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 하대유 (전북대학교 부설의과학연구소 면역학분과 및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Published : 1980.12.31

Abstract

The effects of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of C. parvum on immune cells in mice were investigated. Significant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parvum was given intravenously before antigen sensitization. The depressed effect of C. parvum was completely abolished by treatment of cyclophosphamide. However,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was not depressed when C. parvum given after antigen. This depression is considered to be attributable to the generation of suppressor cells which were either suppressor T cell or C. parvum activated macrophage, because C. parvum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S. typhimurium in vivo and also induced splenomegaly and hepatomegaly, known as manifestation of macrophage activation. Serum antibody titer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C. parvum regardless of time of C. parvum administration.

C. parvum은 면역학적(免疫學的) 연구(硏究)에 immunomodulating agent로서 광범위(廣範圍)하게 이용(利用)되고 있기 때문에 C. parvum이 SRBC에 대(對)한 면역반응(免疫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 및 그 기전(機轉)을 알아보고자 본(本)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성적(成績)을 얻었다. C. parvum이 SRBC에 대(對)한 DTH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C. parvum 투여시기(投與時期)에 따라 상이(相異)한 결과(結果)를 나타내었는데 C. parvum을 SRBC로 면역전(免疫前)에 정맥내(靜脈內)로 투여(投與)했을 때 유의(有意)있는 지연성(遲延性) 과민반응(過敏反應)(DTH)의 감소(減少)를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現象)은 cyclophosphamide로 처리(處理)했을 때 완전(完全)히 소실(消失)되었다. 또한 C. parvum은 S. typhimurium의 증식(增殖)을 억제(抑制)하고 비장(脾臟) 및 간장종대(肝臟腫大)를 야기(惹起)시켰는데 이러한 사실(事實)로 미루어 C. Parvum의 DTH 감소현상(減少現象)은 suppressor T 세포(細胞) 또는 활성화(活性化)된 대식세포(大食細胞)의 중개(仲介)에 의한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C. parvum은 SRBC에 대(對)한 항체가(抗體價)에 유의(有意)있는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