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도 식물상의 생태학적 연구

On the Ecological Studies of Flora in Island Muie

  • Kim, In Taek (Dept. of Biology, College of Liberal Arts & Science, Kon-Kuk University) ;
  • Il Koo Lee (Dept. of Biology, College of Liberal Arts & Science, Kon-Kuk University)
  • 발행 : 1980.03.01

초록

본 연구는 인천항에서 사방으로 20km에 위치하는 무의도의 식물상을 분류생태학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1976년 5월, 7월 및 1980년 8월의 3회에 걸친 답사의 결과, 57과 142종 19변종의 관속식물을 기록하였다. 본도는 1945년(해방) 이후 약 10ㄴ녀간 인근도시에 신탄촌을 공급하여 왔기 때문에 대소의 수목은 거의 개벌되어서 자연식생이 일단 파괴되었다가 근래의 약 20년간에 육지의 도시에서 석탄 석유등의 화학연료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대체로 자연도 회복하고 있는 것이 바로 현재의 본도 자연상인 것이다. 1. 본도의 식물상은 소나무-서나무, 졸참나무-진달래의 식물군락이라고 본다. 2. 본도 북단의 성황당숲(126m고지)속에 우산나물말나리, 큰까치수영등의 초본식물이 있음은 과거의 어느때인가 이곳에 극상을 방불케하는 식물군집이 있었음을 상기한다. 3. 도내 남방에 위치하는 호룡곡산(245m)의 계곡에는 소나무가 없는 낙엽활엽수림이 있는데 주로 개벗나무, 물푸레나무, 서어나무, 굴피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고로쇠나무등으로 구성된 숲이었다. 4. 상기 낙엽활엽수림의 임상에는 우산나물, 더덕, 큰까치수영, 도라지, 오이풀등이 있었다. 5. 본도의 동해안 중간지점의 습지에서 끈끈이주걱을 발견했다. 6. 상록활엽수로서는 사철나무와 순비기나무의 종2을 보았을 뿐이다.

This paper contains the results obtained by ecological investigation of flora in Muie Island of Incheon Harbor in the western coast in Korea. 14 varieties, 147 species, 57 families and 142 genera of Tracheophyta were recorded by field investigations conducted over three times in May and July, 1976 and August, 1980. The flora of this island showed a plant community predominated by Pinus densiflora grown in miggle with Carpinus laxiflora, Quercus serrata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Generally, the number of plant species was scarce, but it was an unexpected result that such remote mountainous plants as Lysimachia clethroides, Syneilesis palmate and Lilium disticum etc. were encountered in a wood surrounding Seohwang-dang, the shrine of a tutelary deity, on 126-Meter Hill at the northern end of the island. There also countered in Hoyong mountain valley wer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without pine tree which mainly consisted of Prunus leveilleana, Fraxinus rhynchophylla, Platycarya strofilada, Quercus serrata, Quercus acutissima and Acer mono. In addition, herbaceous plants, such as Syneilesis palmata, Codonopsis lanceolata and Lysima barystachy were grown as the undergrowth of these forests. Drosera rotundifolia, an unlooked-for plant, appeared in the middle of the eastern coast of the island. Camellia jpaonica was gro주 spontaneously in Deogjeog Island 26km southwest from the island, while no evergreen broa-leaved tree could be located except 2 species of Vitex rotundifolia and Euonyhmus japonica. It may be considered that such simple flora of this island compared with that of land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formation of the former took place in the period far latter than that of the latt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