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me Aspects of Tungste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중석의 광물학적, 지화학적 고찰

  • Published : 1979.09.30

Abstract

Though tungsten minerals have been mined for over fifty years in Korea, which has become one of the worlds largest tungsten producers since 1951, knowledge of their mineralogy and geochemistry is somewhat limited to the school of tungsten students. There is a considerable amount of literature throughout the world on the tungsten mineralogy, the geochemical behaviour of tungsten, the nature of tungsten deposits and geological environments for tungsten mineralisation. Commonly known tungsten minerals such as scheelite and wolframite belong to one of two series, the scheelite or the wolframite series, as the primary tungsten minerals. Secondary tungsten minerals are known rather rare, however, some of them plays an important role-of exploration guide in search for tungsten deposits. The geochemistry of tungsten is imperfectly known, and apparently the behaviour of tungsten in geological processes has been the subject of few studies. Recently, some aspects of the fundamental geochemistry of tungsten has been worked out and compiled the data in broad the up to date by many authors. In order to facilitate the better understanding and future exploration of tungsten deposits, an attempt has been made to summarise the existing knowledge of the fundamental geochemistry of tungsten, together with its common geochemical association with various types of tungsten deposits.

중석은 우리나라에서 40여년간 개발되어 1951년 이후 세계 굴지의 중석 생산국의 하나로 등장 했으나 중석에 대한 광물학적및 지화학적인 지식은 이들을 다루고 있는 전문가에게도 극히 제한되어 이해되고 있다. 중석에 대한 광물학, 지구화학적인 활동특성, 중석광상의 특정과 광화작용의 지질적인 환경등에 관한 연구논문이 세계적으로 상당량 발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중석광물중 회중석과 흑중석은 일차광물로 회중석계열 및 흑중석계열 광물중의 하나에 불과하며 이외 이차광물은 극히 드물게 산출되나 이들은 중석광물을 탐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기도 한다. 반면 중석에 대한 지구화학지식은 아직도 불완전하게 알려져 있고 지질과정에 있어 중석의 활동 특성은 연구단계에 있다. 최근 중석의 기초 지구화학연구가 많이 진전되어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그 자료가 정리되어 발표되고 있다. 중석광상을 보다 더 이해하고 앞으로 효율적인 탐사를 위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중석에 대한 지구화학적인 기초연구와 중석광상에 수반되는 원소들을 요약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