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데이타 통신회선의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Local Dabta Communication Line Characteristics

  • 김동규 (아주공과대학 전자공학과/종합연구소)
  • 발행 : 1979.10.01

초록

1960년대 후반 이후 전세계적으로 정보 산업의 가장 중요하고 미개척된 분야의 하나로서 data 통신/컴퓨터 통신이 급격히 대두되어 그 영향력을 광범위하게 확산시키기 시작하였다. 이의 구현을 위하여서는 먼저 통신 채널의 여러가지 고유한 특성이 구명되고 그 신뢰도가 확인되어야 하는 것이 선결 문제이다. 본 논문은 1973년도 이후부터 현재까지 이 분야에 축적된 데이타를 집대성하고 조직적으로 분석하여 몇가지 기본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발전적 제안을 하였다. 전용선과 공중선, 통신 속도, 통신 형태, block의 크기, 측정 구간의 지역적 특성등에 따른 통신채널의 최종적 외부 특성인 error rate, 주파수 특성, 직류 특성등을 분석하고 논하였으며 block의 크기가 performance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여 보았다. 또한 9300BPS급의 고속도 통신의 가능성 크기가 performance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여 보았다. 또한 9600BPS급의 고속도 통신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Since the second half of 1960's one of the information industry's most vital, yet least-well-understood areas has evolved-Data communications/Computer communications. To successfully realize this field we have to identity and reveal a variety of fundermental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s channels and see their high reliability as prerequisites. This paper has accumulated related data from 1973 on, systematically analyzed them and provided some basic back ground and suggestions. Error rate which is the fi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lines according to channal types, communication types and speed, block length and geographical difference between test points was extensively examined as well as their frequency response and d-c characteristics. The perspective of 9600BPS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s was also discuss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