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anium Levels in Soil and Plant, and Estimation of Its Intake by the Residents at the Uranium Deposited Area

우라늄광 부근에서 우라늄의 토양 및 식물체중 함량과 주민들에 의한 체내 집적량추정

  • Published : 1979.12.30

Abstract

The soils and plants were sampled from 26 sites of Deogpyeongri, Goisangun, which had been found to be one of the uranium deposit areas. Uranium levels of the samples were determined and the amount of uranium intake by the residents through the food-chains was estimated. The average uranium concentration of Deogpyeongri soils was 15.5ppm with a range of from 4.9 to 43.6ppm showing rather higher values than those of control area, Yangjugun and Icheongun, Gyeonggi-do. The average uranium content of the plant samples from Deogpyeongri was 0.69ppm, about twice the uranium concentration of the control samples. The daily intake of uranium by an adult lived on the agricultural food stuffs produced in Deogpyeongri, was estimated to be about $247{\mu}g$, eqivalent to $0.83{\times}10^{-4}{\mu}Ci$, which is much higher activity compared to the daily intake of uranium by New York citizen, $1.3{\mu}g$. However the calculated uranium level accumulated in the human body of Deogpyeong area was $2.03{\times}10^{-4}{\mu}Ci$ which is still lower than $0.2{\mu}Ci$, the maximum permissible burden in total body recommended by the ICRP.

우라늄광이 분포되어 있는 충청북도 괴산군 덕평리 일대의 26개 지점에서 토양 및 식물체를 채취하여 우라늄 함량을 정량하였다. 한편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작물을 주식으로 하고 있는 주민들의 인체내 우라늄 누적량을 추정했다. 토양중 우라늄 함량은 $4.9ppm{\sim}43.6ppm$으로 평균 15.5ppm이었으며 이 값은 대조구로 조사된 경기도 양주군 금곡리와 이천군 준일리의 우라늄 함량보다 3배 정도 높았다. 식물체의 경우는 평균 0.69ppm으로 대조구보다 약 2배 많았다. 덕평리 마을의 성인 한 사람이 이곳의 농산들로부터 만들어진 음식물에서 섭취하는 일당 우라늄량은 $247{\mu}g$으로 추정되었으며 이 값은 $0.83{\times}10^{-4}\;uCi$의 방사능에 해당되며 뉴욕 시민의 $1.3{\mu}g$에 비해 훨씬 높았다. 그러나 체내에 누적되는 우라늄의 방사능량은 $2.03{\times}10^{-4}{\mu}Ci$으로 국제 방사선 방어협회가 보고한 최대 허용 체내 집적량 0.2uCi보다는 훨씬 낮은 값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