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ation of Secondary Amines in Soysauce and Soy-paste -Part 2. Periodical changes of sceondary amines during Korean soysauce aging-

장류(醬類)에 있어서 2급(級) Amine의 형성(形咸) -제2보(第2報) 재래식(在來式) 간장숙성중(熟成中) 2급(級) amine의 동태(動態)-

  • 양희천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권태영 (전주영생대학 가정학과)
  • Published : 1979.03.30

Abstract

To clarify the formation of secondary amines in Korean native soysauce, periodical changes during 90 days aging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content of secondary amines in Korean native meju was 20.86 ppm $(7.25{\sim}50.76{\;}ppm)$ as dimethylamine(DMA), higher than modified meju(artifcial lyinoculated Aspergillus oryzae). Especially, the high amount was detected in severely deteriorated meju. 2. Cooked soybean, wheat, barley and rice contained 1.28, 0.57, 0.34 and 0.35 ppm of secondary amines, respectively. The more amounts were detected in koji, the respective contents in soybean, wheat, barley and rice koji were 2.63, 1.09, 0.64 and 0.54 ppm. 3. The new formation of secondary amines was not recognized in normally fermented Korean native soysauce during 90 days aging. 4. Secondary amines were formed below 18% sodium chloride under dark condition during soysauce aging, but not formed at 14% under sun-light condition. 5. The modified soysauce, prepared with modified meju, did not contain the newly synthesized secondary amines at 14% sodium chloride under sun-light condition during 30 days aging. 6, Drying of meju and boiling of soysauce did not affect the evaporation of secondary amines.

재래식(在來式) 간장에 있어서 2급(級) amine의 생성요인(生成要因)을 구명(究明)하고저 메주에서부터 간장의 숙성(熟成) 및 달이기까지의 전과정(全過程)에 걸쳐 2급(級) amine의 동태(動態)를 조사(調査)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일반가정(一般家庭)의 재래식(在來式) 메주는 Aspergillus oryzae를 인공접종(人工接種)하여 제조(製造)한 메주보다 2급(級) amine의 함량(含量)이 7배이상(倍以上) 높아서 평균(平均) 20.86 ppm이 검출(檢出)되었다. 또한 재래식(在來式) 메주중(中)에서도 변패도(變敗度)가 높은 메주일수록 2급(級) amine의 함량(含量)이 높았다. 2. 장류제조(醬類製造)의 원료(原料)인 콩, 밀, 쌀 및 보리에서도 소량(少量)의 2급(級) amine이 검출(檢出)되었는데 콩 1.28ppm, 밀 0.57ppm, 쌀 0.35ppm, 보리 0.34ppm이었다. 이들을 원료(原料)로 제조(製造)한 코오지에서는 보다 많은 양(量)의 2급(級) amine이 검출(檢出)되어 콩코오지는 2.63ppm, 밀은 1.09ppm, 쌀과 보리는 0.54, 0.64 ppm 수준(水準)이었다. 3. 재래식(在來式) 간장의 90일간(日間)의 숙성과정(熟成過程)에서 정상적(正常的)인 발효(醱酵)가 진행(進行)되는한 메주에서 유래(由來)하는 외(外)에 새로운 2급(級) amine의 생성(生成)은 없었다. 4. 재래식(在來式) 메주를 사용(使用), 식염농도(食鹽濃度)를 $12{\sim}26%$수준(水準)으로 간장을 담그었던바 일광(日光)을 충분(充分)이 쪼이는 조건(條件)에서는 2급(級) amine의 생성(生成)이 없었으나 암소(暗所)에서는 18%이하구(以下區)에서 메주로부터의 용출예상량이상(溶出豫想量以上)의 2급(級) amine이 검출(檢出)되었다. 5. Aspergillus oryzae를 인공접종(人工接種)하여 메주를 만들고 식염농도(食鹽濃度)를 $14{\sim}26%$수준(水準)으로 간장을 담그어 일광(日光)이 충분(充分)히 쪼이는 곳에서 숙성(熟成)시켰던 바 용출예상량이상(溶出豫想量以上)의 2급(級) amine이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6. 메주의 건조(乾燥)나 간장 달이기에 의(依)한 2급(級) amine의 휘산효과(揮散效果)는 기대(期待)할 수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