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한국 연안해수중의 영양염 함량

Nutrients In Coastal Water Of Korea During Summer Of 1977

  • 발행 : 1978.12.01

초록

우리 나라에서의 연안수질조사나 해양특성조사는 현재까지 단편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상당히 많다. 해방전에 조사된 것을 제외하면 1960년대 전반까지는 조사된 것이 별로 없으나 후반에 들어와서는 원(1963,1964), 박과 김(1967), 장과 배(1968), 박 등(1969), 이 등(1969)의 양식장주변을 위주로 한 조사가 시작되었으며, 경제성장과 때를 같이하여 1970년대 전반에 들어와서는 원과 박(1970), 김(1970), 원(1970), 최 등(1970), 최와 정(1971), 홍 등(1971), 강(1972), 최와 정(1972), 황 (1972), 원과 박(1973), 김 등((1974), 이 등 (1974), 노 등 (1975), 곽과 이(1975) 박(1975a,b), 곽(1976, 1977) 등 연안수질의 현황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조사가 행해졌다. 그러나 어떤 한 해역에 있어서의 해양학적 특성이나 영양염 또는 중금속을 조사했ㅇ르 뿐 그 이외의 해역을 같은 계절에 조사해서 비교 분석한 사실은 거의 없다

General water quality parameters were measured, as a base-line study, for possible water pollution problems in the coastal waters of some important harbors and near-sea industrial complexes all around coastal zones of Korea from June 1 to October 15, 1977. The areas surveyed were near Mugho-Samcheog, Ulsan, Jinhae-Masan, Yeosu-Gwangyang, Mogpo, Gunsan and Incheon. Among the surveyed coastal areas, the Ulsan and the Jinhae-Masan areas showed high levels of dissolved oxygen, pH, COD and nutrients. Particularly, the surface waters of the Ulsan inner bay represented COD 15.6mg/l and NO$\sub$2/-N 110$\mu\textrm{g}$/l. The surface layer of the Masan bay displayed pH 8.92 and NO$\sub$3/-N 372$\mu\textrm{g}$/l, while 309$\mu\textrm{g}$/l of PO$\sub$4/-P was recorded in the surface of the Haengam bay. In general it is shown that some coastal areas are presenting signs of pollution from man's activit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