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작물(油脂作物)에 시용(施用)한 몇가지 제초제(除草劑)의 행방(行方)

Bahavior of Some Herbicides Applied to Oil-bearing Crops

  • 김용화 (한국원자력연구소 환경화학연구실) ;
  • 강순영 (한국원자력연구소 환경화학연구실) ;
  • 이서래 (한국원자력연구소 환경화학연구실)
  • Kim, Yong-Hwa (Exvironmental Chemistry Laboratory,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 Kang, Soon-Young (Exvironmental Chemistry Laboratory,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 Lee, Su-Rae (Exvironmental Chemistry Laboratory,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발행 : 1978.09.30

초록

제초제((除草劑)중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nitrofen(NIP, TOK), butachlor (Machete) 및 alachlo (Lasso의 잔류성(殘留性)을 조사하기 위하여 가수분해를 거치지 않고 전자(電子)포획검출기가 부설된 깨스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는 방법을 확립시킨 후 이들 제초제를 유지(油脂)작물인 유채(油菜), 대두(大豆) 및 수도(水稻)의 재배포장에 사용(施用)하였을 때의 잔류량(殘留量)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가지 제초제(除草劑)는 사용후 2주일만에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10%수준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유지(油脂)원료인 세 작물의 종자(種子)에는 분석한계치(分析限界値)안에서 전혀 검출(檢出)되지 아니하였다.

Three herbicides including nitrofen, alachlor and butachlor f?ere applied to farm soils of oil-bearing crops rape, soybean and paddy rice and their residual levels in the soil and seeds were determined by ECD-attached gas chromatograph without hydrolysis. Applied herbicides were decreased abruptly 2 weeks after application and slowly thereafter, reaching below 10% level while the extent of disappearance varied depending on the herbicides, crops and soil conditions. The herbicides were not detected at all in the seeds of tested crops within the detection limit of the analytical methods employ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