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Blood pH, $Pco_2$ and $Po_2$ During Passive Tilt

체위 변화시의 혈액 pH, $Pco_2$$Po_2$의 변화

  • Jun, Sang-Yun (Department of Physi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Chae, E-Up (Department of Physi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전상연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 채의업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Published : 1978.10.31

Abstract

To evaluate orthostatic brain hypoxia from the passive tilt, anesthetized dogs were tilted from supine to $90^{\circ}C$ upright and $90^{\circ}C$ head down position. Blood pH, $Pco_2$ and $Po_2$ changes during tilt were measured on 8 dogs. Respiratory rate was decreased in upright position and increased in head down position comparing to that in rte horizontal position. pH in arterial blood was increased in upright position and decreased in venous blood comparing to that in the horizontal position. No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the head down position. $Pco_2$ of arterial and venous blood was decreased both in upright and head down. position A significant decrease was found in the head down position. $Po_2$ in arterial blood was increased both in the upright and head down position. However, it was decreased in the venous blood. The cause of increased $Po_2$ in arterial blood seemed to do due to hyperventilation and the cause of decreased $Po_2$ in venous blood was thought to be due to increased $O_2$ consumption of animals during the tilt.

경사대에 의한 수등적체위 변화시 분시 호흡수, 혈액 pH, $PCO_2$$PO_2$의 변화를 관찰하고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체위변화시 호흡수는 기립위에서는 수평대조치에 비해 감소하고 도립위에서는 많은 증가를 보였다. 혈액 pH는 기립위에서 수평대조치에 비해 동맥혈은 0.2%가 증가되었고 정맥혈은 0.3%가 감소하였다. 도립위에서는 수평대조치와 거의 변화가 없는 값을 나타내었다. $PCO_2$는 기립위에서 수평대조치에 비해 동맥혈은 8.3%, 정맥혈은 0.3%가 감소되었고 도립위에서는 동맥혈은 20.1%가 감소되고 이것은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변화였다. 정맥혈은 7%가 감소되었다. $PO_2$는 기립위에서 동맥혈은 2%가 증가, 정맥혈은 21.7%가 감소되었으며 이것은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변화였다. 도립위에서는 동맥혈은 11.4%가 증가되고 정맥혈은 14.1%가 감소되었다. 도립위에서 동맥혈의 $PO_2$가 증가 되는 원인은 도립중의 과도호흡하에 의한 것이라 사료되며 정맥혈의 $PO_2$의 감소는 도립중의 근육수축에 연유하는 산소소비량의 증가가 그 원인이라고 사료된다. 또 도립위에서 $PO_2$가 감소하고 수소ion의 감소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pH가 증가하지 않는것은 산소소비가 증가되고 정맥혈의 $PO_2$가 감소되는 것으로 봐서 염기성해당으로 젖산이 증가된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