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il Testing for Potassium in Upland Soils -Review on the Methodologies-

밭토양(土壤)에 대(對)한 가리(加里) 검정(檢定)

  • Published : 1977.09.30

Abstract

Considering the ways for the possible improvement of soil test for upland crops, various methods for the evaluation of K supplying power and testing of available soil K were reviewed in terms of theoretical principles and practical usefulness of the each method. The review was also made on the characteristics of upland crops in K requirement and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major korean upland and lowland rice soils in terms of K availability. Following is the few remarks drawn from the review. 1. Quite large number of methods have been known for the evaluation of K supplying power and testing for available soil K. In nature, they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capacity-based methods and intensity-based methcds. The capacity-based methods usually measure the exchangeable and some portion of nonexchangeable K, while the intensity-based methods suggest to consider the ractivity ratios of major cations in soil solution and the energy requirement for the replacement of exchangeable soil K into soil solution. 2. As methodology for extraction of interested part of soil K, chemical extraction, electrodialysis and ion exchange methods have been known. Among these, chemical extract ion is favorable because of its simplicity. However, recently suggested Electro-Ultra-Filtration method seems to merit further study for wider use for not only K but also other nutrient availability of soils. 3. The intensity-based methods, although they are more theoretical, because of their complexity, in methods may not be adapted for practical soil tests. 4. The exchangeable K which is rather simple to measure and which well reflects the status of K reserve as nonexchangeable and is immediate pool of water soluble K may be good, if not best, criterion of soil K availability to plant in common soil testing. 5. Because there are evidences that the abundance of available K alone may not be good inclication for availability of K to plant, it is recommendable to interprete the exchangeable K data as percent saturation of exchangeable K to total C. E. C. of soil for the recommend ation of K fertilizer based on soil tests. 6. Some pot and field trial results showed the trends that percent potassium saturation to total C. E. C. better serve as the parameter for K fertilizer recommendation.

밭 토양(土壤)에 대(對)한 가리검정(加里檢定) 방법(方法)의 발전(發展) 방향(方向)을 염두(念頭)에 두고 이제까지 알려진 토양(土壤)의 가리(加里) 공급능(供給能) 평가(評價) 방법(方法) 및 토양유효가리(土壤有效加里) 검정(檢定) 방법(方法)들의 원리(原理)와 실제(實際) 활용성(活用性)들을 고찰(考察)했으며, 우리나라 밭 토양(土樓)의 가리(加里) 공급능(供給能)과 관련(關聯)된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 및 밭 작물(作物)들의 가리(加里) 요구(要求) 특성(特性) 등(等)을 검토(檢討)했다. 다음은 본고찰(本考察)의 요지(要旨)이다. 1. 이제까지 상당(相當)히 많은 방법(方法)들이 토양(土壤)의 가리공급능(加里供給能) 평가(評價)와 유효가리(有效加里) 검정방법(檢定方法)으로 제안(提案)돼 왔다. 이들은 성질상(性質上) 두 가지로 크게 나뉘는데, 하나는 용량인자(容量因子)를 측정(測定)하는 방법(方法)과 다른 하나는 강도인자(强度因子)를 측정(測定)하는 방법(方法)이 그것이다. 용량인자(容量因子)의 경우(境遇)에는 대개(大槪)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와 비치환성(非置換性) 가리(加里) 일부(一部)를 측정(測定)하고, 강도인자(强度因子)의 경우(境遇)에는 주요(主要) 양(陽)이온의 활동도비(活動度比) 및 가리(加里) 치환(置換) Enegy에 대(對)해 관심(關心)을 둔다. 2. 관심(關心)의 대상(對象)이 되는 부분(部分)의 가리(加里)의 침출(浸出) 방법(方法)으로는 화학적(化學的)로는 침출법(浸出法), 전기접근법(電氣送析法) 및 이온 교환법(交換法) 등(等)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방법(方法)의 간이성(簡易性) 때문에 화학적(化學的) 침출법(浸出法)이 널리 쓰이고 있다. 새로이 제안(提案)된 전기고도여과법(Electro-Ultra-Filtration)도 방법(方法)의 간이성(簡易性)과 이론적(理論的) 타당성(妥當性)을 고려(考慮)할 때 고찰(考察) 활용(活用)을 위(爲)해 연구(硏究)할 필요(必要)가 있다. 3. 강도인자(强度因子)를 고려(考慮)한 방법(方法)들은 이론적(理論的) 타당성(妥當性)은 높으나 수행상(逢行上)의 복잡성(複雜性)때문에 다량(多量)의 업무(業務)를 효(要)하는 토양검정(土壤檢定)에 활용(活用)키는 힘들다. 4.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는 수용성(水溶性) 가리(加里)의 제1차(第一次) 급원(給源)이며 장기간(長期間)에 걸쳐 작물(作物)에게 유효(有效)한 것으로 알려진 비치환성(非置換性) 가리함량(加里含量)에 대(對)한 지표(指標)도 되며 측정법(測定法)의 간이성(簡易性)이 높은 점(點)으로 보아 토양검정(土壤檢定)에서 채택(採擇)하기 알맞은 검정(檢定) 대상(對象)이다. 5. 작물(作物)에 의(依)한 가리흡수(加里吸收)의 난이도(難易度)는 유효가리(有效加里)의 함량(含量)에만 의(依)해 결정(決定)되지 않으므로 이 측정치(測定値)를 작물(作物)에 대(對)한 가리비료(加里肥料) 시용양(施用量) 추천(推薦)을 위(爲)해 활용(活用)코저 할 때는 총(總) CEC에 대(對)한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 포화도(飽和度)로 따지는 것이 무난(無難)한 것 같다. 6. 수개(數個)의 포장(團場) 시험(試驗) 성적(成績)과 pot 시험성적(試驗成績)들은 토양(土壤)의 가리(加里) 포화도(飽和度)가 비교적(比較的) 무난(無難)한 가리비료(加里肥料) 소요량(所要量) 추천(推薦)의 지표(指標)가 됨을 시사(示唆)한 바도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