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ysequum토양(土壤)의 특성(特性) 및 생성(生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Characteristic and genesis of Polysequum Soils in Jeju

  • 심사 : 1976.05.20
  • 발행 : 1976.05.20

초록

본(本) 연구(硏究)는 제주도토양(濟州道土壤)의 특성(特性) 및 생성(生成)에 관(關)한 논문(論文)의 일환(一環)으로 수행(遂行)되었으며 화산활동(火山活動)의 영향(影響)으로 이루어진 두드러진 현상중(現象中)의 하나인 polysequum토양(土壤)의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형태적(形態的), 이화학적(理化學的), 광물학적(鑛物學的) 토양미세형태학적(土壤微細形態學的)으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공시토양(供試土壤)의 기반(基盤)은 현무암잔적층(玄武岩殘積層)(III)이고 화산사탄층(火山砂炭層)(II)과 화산회층(火山灰層)이 쌓여서 이루어졌다. 2. 따라서 화산회(火山灰), 화산사암층(火山沙岩層), 현무암잔적층(玄武岩殘積層)의 암석학적(岩石學的) 불연속성(不連續性)이 현저(顯著)하여 화산회층(火山灰層)은 미사질양토(微砂質壤土), 화산사암층(火山砂岩層)은 사토현무암층(砂土玄武岩層)은 미사질식토(微砂質植土)이었다. 3. 화산사암층(火山砂岩層)은 아직 토양(土壤)으로 발달(發達)이 덜 되어있으며 그 특성(特性)은 현무암층(玄武岩層)보다 화산회(火山灰)에 유사(類似)하였다. 4. 주요(主要) 점토광물(粘土鑛物)은 화산회층(火山灰層)에서는 Allophane, 현무암잔적층(玄武岩殘積層)에서는 kaoline, vermiculite와 Illite이였다. 5. 공시토양(供試土壤)은 대체(大體)로 생성년대(生成年代)가 오래지 않은 것으로 판명(判明)되었다. 이와같은 사실(事實)은 화산회토(火山灰土)는 초기풍화상태(初期風化狀態)에 있었고 화산사암층(火山砂岩層) 역시(亦是) 풍화(風化)가 진행(進行)되는 중(中)이며 현무암잔적층(玄武岩殘積層)에는 점토(粘土)의 집적층(集積層)이 없다는 근거(根據)로 추리(推理)된다.

The present paper is a part of a study aimed at gaining information on the origin, mode of de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volcanic soils in Jeju. Volcanic activity of Jeju island has extremely influenced on the formation of various soils. Polysequum phenomenon of soils is one of outstanding soil genesis in Jeju. The typical polysequum soils was collected and analyzed by morphological, physico-chemical, mineralogical and micromorphological approach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oils consists of polysequa, A and B horizons from volcanic ashes, unconsolidated volcanic sand layer and B(I) horizons from residual basalts. 2. The lithological discontinuity is also very distinct; silt loam from volcanic ashes, sand (II) from volcanic sand and clayey (III) from basalts. 3. Volcanic sand layer seems to be influenced by lava flow. The properties of it are similar to volcanic ashes rather than beneath residuum in micromorphological aspects. In micromorphological, this layer is gradually changed into soils. 4. Dominant clay minerals are allophane in A and B horizons from volcanic ashes and kaoline, vermiculite and illite from residual basalts. 5. The soils are not developed. There is no formation of argillic horizon in subsurface laye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