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Korean Soysauce and Soypaste Making on Soybean Protein Quality -Part 4. Protein Supplementary Effect of Soybean Products to the Rice Diet-

재래식 간장 및 된장제조가 대두단백질의 영양가에 미치는 영향 -제4보 백미식이에 대한 대두제품의 단백질 보충효과-

  • Lee, Cherl-Ho (Department of Food Preservation, The Royal and Agricultural University)
  • 이철호 (덴마크 왕립 농과대학, 식품저장학 교실)
  • Published : 1976.09.28

Abstract

Cooked soybean, soybean curd, soymilk residue and fermented soybean Meju products were prepared in the laboratory and the protein supplementary effect of these foods to the rice diet was determined by the rat feeding experiments. The soybean products providing 20% of the dietary protein were added to steamed rice and the protein digestibility (TD), Biological Value(BV), NPU, PER and Partial Carcass Nitrogen Value of the diets were measured. The protein supplementary effect of soybean products indicated that the non-fermented products generally improved the protein quality of the rice diet, whereas the fermented products did not but reduced it in some cases. There was observed a possible antinutritional effect for the diet supplemented with Home-made Meju. This growth retarding effect of Home-made Meju disappeared during the subsequent ripening in the brine for 6 months.

삶은 콩, 두부, 비지 및 메주장 제품들을 실험실에서 제조하여 이들 식품의 백미식이에 대한 단백질 보충 효과를 비교 관찰하였다. 식이의 총단백질의 20%에 상당하는 대두식품을 증숙된 쌀에 첨가하여 시험식이를 만들고 총 9일간의 백쥐사양시험으로 이들 식이의 단백질 소화율, 생물가(BV), NPU, PER 및 부분도체질소가를 측정하였다. 이들 시험결과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비발효 대두제품 즉 삶은 콩, 두부, 비지는 백미식이의 단백가를 상당히 증진시키나, 메주 발효식품은 이를 별로 증진시키지 못하며 오히려 어떤 경우에는 저하시킴을 나타내었다. 또한 재래식 가정메주를 첨가한 식이에서 영양장애요소의 존재 가능성이 검측되었는데 이 재래식 메주의 생장저해효과는 6개월간의 메주장 숙성기간중에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논문의 Part 1 부터 Part 4 까지의 전반에 걸친 결론을 기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