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PHOLOGICAL VIEW ON BIG INDIVIDUALS APPEARED IN THE SAME AGE GROUP OF ZOEA LARVA, MACROBRACHIUM JAPONICUM (DE HAAN)

담수산 새우 Macrobrachium japonicum (De Haan)의 Zoea 유생기에 출현하는 동일영기군 속의 개체변이체에 대한 형태학적 고찰

  • Published : 1974.09.01

Abstract

Adult female prawn, Macrobrachium japonicum, which used for this work were collected at the river Simanto, Shikoku in Japan, and removed in the laboratory. Newly hatched larvae from an adult reared in circulation-filtered aquaria, which is controlled under the conditions of water temperature $26\pm0.3^{\circ}C$, chlorinity $6.21-6.45\%$ Cl, pH 8.0-8.1, illumination 3000 lux, and fed on Artemia salina nauplius sufficielltly For a period of rearing of zoea larvae, big individuals-individual varying bodies, comparing with standard bodies in the same aged individual group, are occasionally appeared from fifth zoea larva stage, and occurence of it be tempted to relate with the factor of trophic condition. This paper was dealt with a comparative morphological view on big individuals, comparing with standard type in the same aged group, to solve the problem on (1).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stages which it is easier to occurence of big individuals, (2). the rate of development in several appendages of an individual, and (3). a happening of skipping whether it certainly occur or not, during newly hatched zoea larvae develop to post larva stage. The results of the above are as follow: (1). the stages which is easier to occur of big individuals are fifth and seventh stage in this species, (2). even same individual, development of several appendages differs more or less on the rate of growth in accordance with its parts, (3). Evidence which skipping phenomenon is occured, during development through zoea larvae to post larvae, couldn't confirm.

1. 사육수조에서 교모 포난시킨 친하로부터 부화된 유생을 순환식 이중수조내에서 수온 $26\pm0.3^{\circ}C$, Chlorioity $6.21-6.45\%$ Cl., pH $8.\~8.1$, 조도 3,000 lux의 조건하에서 Artemia salina nauplius를 먹이로 급여하여 사육했다. 2. 동일영기군에서 출현하는 개체변이체(숙성이)와 표준형개체 사이의 형태적 차이를 비교하여 숙성이의 출현영기와 관련이 있는 제4영기로부터 제9영기의 각 부속지의 발생과정을 관찰한 결과, 본종에 있어서도 개체성장의 변이에 의한 숙성이가 출현하기 쉬운 영기(제5영기와 제7영기)가 존재하며 이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원인은 섭이요인과 관련이 큰 것으로 보인다. 3. 동일영기군의 숙성이를 외형적인 형태학적 면으로 기관의 분화정도로써 표준형의 개체와 비교 조사한 결과 동일영기군에서 출현하는 숙성이의 각 부여기관은 부분적으로는 영기가 발전된 개체의 특징도 구비하지만 또 다른 면으로는 그 영기의 표준형의 특징도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각 영기의 특징은 개체의 크기에 관계없이 동일영기의 특징을 부분적으로나마 명확히 보유하고 있었다. 한편 본종에 있어서의 개체변이체는 한 영기를 완전히 비약성약하여 그 다음 영기로 이행하는 것이 아니고 부속기관의 분화속도가 부분적으로 이시성을 나타낼 따름이므로 완전한 skipping 현상은 관찰할 수 없었다. 4. 유생의 부속기의 발생분화는 일과적으로 개체변이가 크지만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라 안정성을 가지는 부분과 이와 반대로 변이의 감수성이 큰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따라서 한 개체내의 각 부속기의 분화, 발생은 부위에 따라 이시성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5. 각 영기의 노정은 종래와 같이 탈피후의 1개체의 전체 부속기의 변화된 정도에 따라 정할 것이아니라 전술한 환경요인의 변동에 대해서 극히 안정성을 띄는 부속기관을 지표로 하여 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