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sitivity of rice Plant to Potassium Stress of Various Growth Stages -II Effect of potassium depression on grain yield and its relation to nutrient content

생육시기별수도(生育時期別水稻)의 가리부족(加里不足)에 대(對)한 감수성(感受性) -II 수량(收量)에 대(對)한 가리결제(加里缺除)의 영향(影響) 및 수량(收量)과 양분함량(養分含量)과의 관계(關係)

  • Park, Hoon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Office of Rural Development) ;
  • Mok, Sung Kyun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Office of Rural Development) ;
  • Kim, Sung Bae (Sadan Birbin Kali Yeun Koo Hwae)
  • Received : 1974.06.10
  • Published : 1974.09.20

Abstract

Effects on yields, yield components and nutrient content of potassium depression for two or three weeks at various growth stages were investigated in rice (var. Jinheung) under sand culture system.(K 40 ppm 1973) 1. Analysis of vari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of both two-week (at p=0.01) and three-week depression (at p=0.05) in yield. 2. Most sensitive stage to potassium depression on yield appeared two weeks until heading (42% yield decrease) and sensitivity decreased the growth stage is apart from heading either before or after. During 30 days after transplanting two-week potassium depression increased yield, but three-week depression decreased yield. Until about 30 days after heading depression caused poor yield. 3. Root potassium involves in harvest index, filled grain ratio and grain weight with significant correlation and considerably in spikelet per panicle while potassium in leaf sheath+culm involves considerably in spikelet per panicle and panicle per hill. Relative total dry matter weigh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anicle per hill, spikelet per panicle and K or K/Ca+Mg only in leaf sheath+culm. The indications are that root potassium contributes for building sink and efficiency of structure while potassium in leaf sheat+culm primarily for building source, productive structure. 4. Relative yiel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tassium content in root and leaf sheath+culm and with K/Ca+Mg and its ratio before and after depression in root indicating that potassium depression occurs greatly in root and that K/Ca+Mg might have more important role than K content alone under depression. 5. Optimum level of $K_2O$ appears around 3% in leaf blade. 4% in leaf sheath+culm and 1% in root under the assumption that below these level the same content has the same role in relation to yield during growth. The K/Ca+Mg appeares to be 2.5 in root and should not decrease throughout the growth stages. 6. The increase of sodium content in plant by K depression was highest, especially in leaf sheath during the most insensitive period to K depression suggesting that insensitivity may be attributed to partial replacement of Na for K. Partial replacement seems very little in sensitive stage (later stage) and sensitive organ (root).

수도생육시기별(水稻生育時期別) 2 또는 3 주간(週間)의 가리결제(加里缺除)가 수량(收量), 수량구성인(收量構成因) 및 영양함량(營養含量)에 대(對)한 영향(影響)을 진흥품종(振興品種)을 사용(使用) 사경재배(砂耕栽培)(1973년 K 40ppm)로 검토(檢討)하였다. 1. 수량(收量)의 분산분석(分散分析)은 2 주결제(過缺除)에서 1% 수준(水準)의, 3주결제(週缺除)에서 5%수준(水準)의 처리간(處理間) 유의성(有意性)을 보였다. 2. 가리부족(加里不足)에 가장 회감(悔感)한 시기(時期)는 출수(出穗)까지 2주간(週間)(42% 감수(減收))이고 이를 중심(中心)으로 멀어짐에 따라 감수성(感受性)은 점차 감소(減小)하였다. 이앙후(移秧後) 30일간2주간결제(週間缺除)는 모두 증수(增收)하였으나 3주결제(週缺除)는 감수(減收)되었다. 출수후(出穗後) 약(約) 30일(日)까지 가리결제(加里缺除)는 감수(減收)되었다. 3. 근(根)의 가리(加里)는 수확지수(收穫指數), 등숙율(登熟率) 및 입중(粒重)과 유의상관(有意相關)을 가지며 수당입수(穗當粒數)와도 상당히 관련되어있으며 엽초십간의 가리(加里)는 수당입수(穗當粒數) 및 주당수수(株當穗數)와 상당히 관련되어 있다. 상대전건물생산량(相對全乾物生産量)은 주당수수(株當穗數), 수당입수(穗當粒數) 및 엽초십간에서만의 K 또는 K/Ca+Mg와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있다. 이는 근(根)의 가리(加里)는 수기(受器)의 건설(建設)과 생산구조(生産構造) 및 효율향상에 기여(奇與)하는 반면 엽초십간의 가리(加里)는 급기(給器) 즉(卽) 생산구조(生産構造)의 건설(建設)에 주(主)로 기여(寄與)하는 것을 의미(意味)한다. 4. 상대수량(相對收量)은 근(根) 및 엽초십간중의 K와, 근중(根中)의 K/Ca+Mg 또는 결제처리전(缺除處理前)에 대(對)한 후(後)의 이의 비율(比率)과 유의상관(有意相關)을 갖는다. 이는 가리부족(加理不足)이 근(根)에서 크게 일어나며 K/Ca+Mg는 K보다 근(根)에서 K 부족시(不足時) 더 큰 의미(意味)를 갖는 것을 나타난다. 5. 수량(收量)과 관련(關聯)하여 한 부위(部位)에서의 가리(加里)의 함량(含量)과 역할(役活)과는 생육전기간(生育全期間)에 동일(同一)하다고 한다면 엽신(葉身)에서는 3% 엽초십간에서는 4% 근(根)에서는 1%가 호적수준(好適水準)이다. 근(根)에서 K/Ca+Mg는 2.5로서 이 값은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 불변(不變)해야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가리결제(加里缺除)로 Na가 증가(增加)하는데 가리부족(加里不足)에 가장 감수성(感受性)이 적은 시기(時期)의 엽초에서 특히 현저하여 K결제(缺除)에 대(對)한 감수성(感受性)이 큰 시기(時期)(생육후기(生育後期)) 또는 기관(器管) 근(根)에서는 Na의 K부분대체역할(部分對替役割)이 극미(極微)한 것으로 보였다.

Keywords